中, 인텔에 이어 애플도 독과점 조사 검토

대미 보복 차원 미 빅테크 때리기 계속

2025-02-06     임형섭 객원기자

미·중 무역전쟁이 시작된 가운데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이 미국 기술대기업들인 구글과 엔비디아, 인텔에 이어 애플에 대해서도 공식 조사 개시를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일러스트레이션=로이터, 연합뉴스)

블룸버그는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이 애플의 30%에 달하는 앱스토어 수수료와 제3자 앱스토어 및 결제방식을 금지하는 정책과 관련해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그동안 애플의 정책은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유럽연합(EU) 등에서도 마찰을 빚어왔다. 이에 애플은 EU의 디지털시장법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앱스토어 정책을 변경해 제3자 앱 스토어와 외부결제를 허용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부터 애플 경영진 및 앱 개발자 등과 이 문제를 논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논의는 iOS 스토어 정책을 둘러싼 애플과 텐센트, 바인트댄스와 같은 중국 개발자간의 오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것으로 중국 규제당국의 애플에 대한 조사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전 시작됐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애플은 지난해부터 텐센트와 앱스토어 수수료 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중국 법원은 한 현지 개발자가 앱스토어 수수료 정책을 문제 삼아 제기한 소송을 받아들이기도 했다.

앞서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전날 세계 최대 검색업체인 미국의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조사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이 중국에 대한 10%의 추가 관세가 발효하자마자 중국이 내놓은 보복조치 중 하나로 해석됐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미지를 넣은 러시아 전통 나무 인형 마트료시카.(사진=AP, 연합뉴스)

중국은 또 미국의 추가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으로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고 석탄과 텅스텐 등 원료수출을 통제하기로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같은 날 시장감독관리총국이 인텔에 대한 조사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미국의 대 중국 추가관세 부과 이후 중국이 맞불 관세와 함께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조사를 시작했듯이 향후 미중 무역갈등 상황에 따라 애플에 대한 반독점조사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될 기로에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수일 내로 통화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