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초부터 물가 들썩...트럼프에 부담

1월 소비자물가 전달보다 0.5% 상승 2023년 8월이후 최고치 관세로 향후 더 오를 전망

2025-02-13     정병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각)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설하고 있다.(사진=UPI, 연합뉴스)

미국의 물가가 올들어 들썩이면서 트럼프 신정부의 관세 무기화 전략에 부담을 주고 있다. 12일(현지시각) 블룸버드 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5%가 올라 2023년 8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식품과 에너지 분야를 뺀 지표인 '핵심 CPI'도 전월대비 0.4% 올라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핵심 CPI'는 계절 요인이나 국제 유가, 기후 변화 등에 따라 단기적으로 변하는 분야를 뺀 지표여서 물가 흐름을 더 잘 보여주기 때문에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중요하게 참고한다. 

그동안 연준에 금리인하를 촉구해온 트럼프 대통령은 1월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해 전임 바이든 정부 탓을 하면서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하지만 이날 미 하원에 출석한 제롬 파월 연준 이사회 의장은 물가 상승률 수준이 연준의 목표엔 근접하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면서 금리 인하에 부정적 입장을 비쳤다.

미국의 1월 CPI 상승은 식료품 가격이 주도했으며 이는 주로 치명적인 조류 독감으로 계란 가격이 15% 이상 오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로스앤젤레스의 대형 산불 여파로 호텔 숙박비나 중고차 비용도 올랐다. 

미국 물가는 많은 기업들이 제품 가격이나 수수료를 연초에 인상하기 때문에 1월에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미국 물가 추이는 2월의 데이터를 더 살펴봐야 하지만 연준으로선 금리를 인하하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는 분위기라는 평가가 나온다. 

사라 하우스 미 웰스파고 은행 수석 경제학자는 "에너지나 식품, 핵심 물가 요소 등에서 오름세를 볼 수 있다"면서 "연준이 금리 동결하는 기간이 더 길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미국 물가는 앞으로 트럼프 정부의 보편 관세 정책 확대에 따라 상승 압력을 더욱 받게 될 전망이다. 미국 물가가 많이 오르면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