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서 항암 물질 찾는다
'삼성 오가노이드' 론칭...사업 영역 확장 위탁개발생산서 임상시험수탁 서비스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약물 스크리닝 서비스인 '삼성 오가노이드‘(Samsung Organoids)를 론칭하며, 위탁개발생산(CDMO)을 넘어 임상시험수탁(CRO) 서비스까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고 16일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오가노이드 사업 분야 중 우선 '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Cancer-derived-Organoid)를 통한 항암 신약 후보물질 스크리닝에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낮은 환자 유사성, 비용 부담, 윤리적 문제 등의 단점을 안고 있었던 기존의 세포 또는 동물 실험을 활용한 후보물질 스크리닝을 대체할 구상이다.
또 고객사의 신약 후보물질 발굴 단계부터 협업을 시작해 고객사의 이탈이나 전환을 방지하는 '잠금 효과’를 노린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 또는 조직 유래 세포를 3차원으로 응집해 배양한 '미니 장기 모델'을 일컫는다. '장기’(organ)와 '유사함'을 뜻하는 접미사 '-oid'의 합성어다.
기존 실험방식보다 비용 부담은 적으면서도 85%에 달하는 높은 환자 유사성을 통해 후보물질의 효능과 독성을 보다 면밀하면서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최근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드마켓은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시장 규모가 2024년 10억달러(약 1조3678억원)에서 연평균 22% 성장해 2030년 33억달러(약 4조5137억원)까지 급성장할 것으로 추산한다.
지난 4월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동물실험을 축소하고, 그 대체 방안으로 오가노이드 등을 장려하기로 해 관련 산업의 성장세가 더 가팔라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오가노이드 외에도 항체·약물접합체(ADC),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등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한 투자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초기 개발 단계부터 신속하고 정확한 스크리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사의 개발 리스크는 줄이고 개발 속도는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고객 만족을 위해 고객사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의 개발에 더욱 매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