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 벨기에펀드 70% 배상…판매 은행도 책임 논의 중
피해자 2500명, 900억원 날려
한국투자증권이 판매한 ‘벨기에코어오피스펀드’에 대해 투자금의 70% 이상을 자율 배상한 가운데, 공동 판매에 참여했던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도 책임 여부를 검토 중이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27일 “한투를 통해 판매된 건의 경우 선제적으로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불완전판매 여부를 면밀히 검토했다"며 "그 결과에 따라 판매 건 중 70%는 보상을 마무리했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 시위에 나선 일부 투자자들과는 보상 기준에 대한 이견이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앞으로 법적 절차와 기준에 따라 성실히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함께 판매한 뒤 불완전판매 의혹을 받는 KB국민은행 관계자는 “현재 판매 과정을 점검하고 있으며, 고객 보호 방안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은행 관계자 역시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며,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다”고 전했다.
문제가 된 펀드는 벨기에 브뤼셀 소재 오피스 건물의 임차권에 투자하는 파생형 부동산펀드로, 현지 선순위 대출을 활용한 고위험 구조다. 지난해 대출 만기 이후 기한이익상실이 발생했고, 담보권 행사로 자산이 강제 처분되면서 투자금 전액 손실이 확정됐다. 피해 규모는 약 2500명, 9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사태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불거진 대규모 사모·공모펀드 관련 소비자 분쟁 사례로, 금융당국과 여당 모두 시장 반응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과거 사모펀드 사태에 대한 공공성 강화 기조를 내세운 현 정부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된다.
피해자들은 판매사 측이 핵심 투자위험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시위를 진행한 바 있다. 일부 가입자는 홍보 문구에 따라 안전한 상품으로 오인해 투자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금융감독원은 벨기에펀드를 포함해 해외 부동산 공모펀드 전반에 대한 실태 조사를 진행 중이며, 불완전판매 여부 및 향후 제도 개선 방향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사태가 벨기에펀드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이지스·뉴욕·바르셀로나 등 유럽계 부동산 펀드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이들 상품 역시 현지 대출 구조, 환위험, 임대차 리스크 등 복합적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