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조선·에너지·항공 11건 '제조 파트너십'..."韓기업, 1500억$ 투자"
HD현대-서버러스, 산업은행과 '1호 마스가' 한수원·두산, 美기업과 'SMR 건설' 협력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두 나라 기업이 조선·에너지·항공 등의 산업 분야에서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계약 및 양해각서 11건을 체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에서 김정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함께한 가운데 양국 기업들이 조선·원자력·항공·액화천연가스(LNG)·핵심 광물 등 분야에서 총 11건의 계약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먼저 조선과 원자력 등 전략 산업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공동 펀드 조성, 투자, 기술 협력 내용이 담긴 MOU 6건이 체결됐다.
HD현대, 한국산업은행과 미국 서버러스 캐피탈(Cerberus Capital)은 미국 조선업, 해양 물류 인프라, 첨단 해양 기술을 포함해 미국과 동맹국의 해양 역량 재건 및 강화를 목표로 하는 수십억달러 규모의 공동 투자 펀드 조성을 위한 MOU에 서명했다.
주요 투자 분야는 미국 조선소 인수 및 현대화, 공급망 강화를 위한 기자재 업체 투자, 자율운항·AI 등 첨단조선기술 개발 등이다.
HD현대가 투자 정책과 경영에 핵심 역할을 하는 앵커투자자를 맡고, 필리핀 수빅 조선소를 인수·운영하고 있는 미국 사모펀드 서버러스 캐피탈이 투자 전략 수립과 관리 전반을 책임진다. 한국산업은행은 한국 투자자의 참여구조를 설계하고, 모집을 지원하는 등 투자 프로그램의 성공적 운용을 도울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비거 마린 그룹(Vigor Marine Group)과 미국 해군의 지원함 유지·보수·운영(MRO)과 조선소 현대화 및 선박 공동 건조 등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MOU를 맺었다.
원자력 분야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두산에너빌리티·엑스에너지(X-energy)·아마존웹서비스가 소형모듈원자로(SMR) 설계·건설·운영·공급망 구축·투자 및 시장 확대 협력에 관한 4자간 MOU를 체결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민간 에너지 개발 사업자인 페르미 아메리카와 미국 텍사스주에 추진 중인 'AI 캠퍼스 프로젝트'에 공급할 대형 원전과 SMR 기자재 관련 포괄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MOU를 맺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삼성물산과 페르미 아메리카는 이와 관련해 'AI 캠퍼스 프로젝트' 건설 등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협력 MOU에 서명했다.
이에 더해 한수원은 미국 우라늄 농축 공급사인 센트러스와 우라늄 농축 설비 구축 투자에 공동 참여하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다.
항공 분야에서는 대한항공이 보잉사로부터 차세대 고효율 항공기 103대(362억달러)를 신규 도입하는 MOU를 체결했다. 대한항공은 GE에어로스페이스와도 137억달러 규모의 엔진 구매 및 엔진 정비 서비스 계약을 맺었다.
한국가스공사는 글로벌 에너지 기업인 트라피구라 등과 2028년부터 약 10년간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를 주요 기반으로 하는 연 330만t 규모의 중장기 LNG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고려아연은 글로벌 방산 기업인 록히드마틴과 게르마늄 공급 구매 및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을 위한 MOU를 맺었다.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류진 풍산 회장은 이 자리에서 "한국 기업들은 1500억달러의 대규모 대미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며 "미국과 글로벌 시장을 함께 견인해 제조업 르네상스의 새 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관 장관은 "정부는 한미 간 제조업 협력이 르네상스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제도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양국 기업에 무궁무진한 사업 기회가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