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기업 D램·낸드·OLED 등 4개 분야 세계 1위...모두 삼성전자
닛케이, 작년 71개 주요 상품·서비스 세계 점유율 조사 美 27개·中 18개·日 9개...15개 품목서 中 점유율↓
지난해 세계 시장에서 거래된 주요 상품·서비스 71개 품목 중 우리 기업이 점유율 1위를 차지한 품목은 4개고 모두 삼성전자 제품인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경제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2024년 주요 상품·서비스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조사해 1일 보도했다.
우리나라 기업은 D램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낸드 플래시 반도체, 초박형 TV 등 4개 품목의 점유율에서 세계 1위에 올랐다. 1위 품목 수는 2023년 조사와 같다.
삼성전자는 2023년에도 이들 4개 품목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이 품목들의 2위 점유율도 모두 한국 기업으로 나타나 이 품목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집중화 현상을 체감할 수 있다.
먼저 우리 기업이 압도적 점유를 보인 D램 반도체는 삼성전자가 41.1%, SK하이닉스 33.8%의 점유율로 시장의 상당 부분을 장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OLED 패널 점유율은 이보다 좀 더 높은 41.7%, 2위인 LG디스플레이는 23.8%로 집계됐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삼성전자 34.8%, SK하이닉스 21.3%로 조사됐고, 초박형 TV는 삼성전자 16.3%, LG전자 14.6%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1위 4품목 외에도 스마트폰과 태블릿 기기에서 각각 애플에 이어 2위, CMOS 이미지 센서에서는 소니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우리 기업이 1위를 차지한 품목 수는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네 번째다.
애플(스마트폰), 엔비디아(AI 서버용 GPU), 오픈 AI(문서 생성 AI), 메타(VR 헤드셋), HP(잉크젯 프린터) 등의 기업이 27개 품목에서 1위를 차지한 미국이 가장 많았다. 이는 2023년보다 1개 늘어난 수치다.
화웨이(이동통신 인프라), 중국 선박집단(조선), 산동 중공(중대형 트럭) 등의 기업이 18개 품목에서 1위를 차지한 중국이 두 번째로 많았다.
일본은 도요타(자동차), 혼다(자동 이륜), 소니(CMOS 이미지 센서) 등이 9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2023년보다 1개 줄었다.
<닛케이>는 15개 품목에서 중국 기업의 점유율이 줄어든 것에 주목했다. 2023년 52.5%였던 중국 기업의 감시카메라 세계 점유율이 지난해 49.9%로 떨어졌고, 클라우드 서비스와 가정용 에어컨 등의 점유율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닛케이>는 미국 정부가 규제와 관세로 압박한 품목에서 중국 기업의 점유율 하락세가 두드러졌다고 분석하면서 "부동산 거품 붕괴에 따른 내수 부진이 이어지면서 중국 기업 경쟁력에 그늘이 보인다"고 보도했다.
전기차(EV)나 스마트폰 등에서는 중국 주요 기업들이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