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 한쪽에 얹힌 값의 비밀...누가 가져갔을까?

피자값 속 숨은 비용의 무게 공정위 대책, 가격은 투명해질까

2025-09-24     서용하 기자
지난 2020년 피자헛 가맹점주 90여명이 차액가맹금은 법적 근거가 없는 부당이익이라며 반환 소송을 제기했다. 법원은 "차액 가맹금은 적정 도매가를 넘는 가맹금"이라며 점주들의 손을 들어줬고, 피자헛이 항소했지만 2심에서도 패소했다. 현재 사건은 대법원 최종 판결을 앞두고 있다. (사진=연합뉴스&피자헛)

피자헛을 둘러싼 210억원대 차액가맹금 소송이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있다. 항소심 재판부는 본사의 차액가맹금이 이중 가맹금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이번 사건은 본사와 점주의 법정 다툼을 넘어, 소비자들 사이에서 피자값이 과연 정당했는지에 대한 의문으로까지 확산하고 있다.

피자 한쪽의 무게?

피자 한쪽을 집어들 때 우리는 토핑과 치즈의 양을 따진다. 그러나 지금 법정에 오른 건 그 위에 얹힌 보이지 않는 ‘비용의 무게’다.

본사는 '정상적인 유통 마진'이라고 항변하고 있지만 가맹점주들은 2016년에서 2022년까지 본사가 원재료 공급 과정에서 ‘차액가맹금’을 챙겨 사실상 이중 가맹금을 받아 갔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본사와 가맹점주 사이의 법정 분쟁을 바라보는 소비자로선 그 숨은 비용이 결국 내가 계산대에서 낸 가격 속에 포함돼 있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예를 들어 실제 판결문에 나온 210억원을 7년간 90여개 점포에 나눠 추산하면, 점포당 연간 약 3200만원꼴이다.

하루 판매량을 30~80판으로 가정했을 때 피자 한쪽 조각에 약 140~360원, 즉 피자값의 7~8%가량이 불투명한 비용 구조로 흘러갔을 가능성이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치즈는 얇아도 마진은 두껍다”라는 소비자들의 불신이 고개를 드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관련 마진이 전부 소비자들에 돌아가지는 않겠지만, 최종 구매자인 소비자들도 비용 구조에 대해서는 알권리가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가맹점주 권익...가격 투명성으로 이어질까?

공정거래위원회는 ‘가맹점주 권익 강화 종합대책’을 내놨다. 앞으로 점주 단체가 협상을 공식적으로 요구할 수 있고, 본사가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면 처벌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정보공개서 제도를 고치고, 직영점 운영을 의무화하며, 폐업 시 계약 해지권을 명문화한 것도 창업부터 폐업까지 점주의 권리를 두텁게 보호하려는 장치다.

소비자로선 이 변화가 곧 가격 결정의 투명성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본사와 점주가 더욱 공정한 구조에서 협상한다면, 우리가 집어 드는 피자 한쪽의 무게는 더 이상 불투명한 비용이 아니라 지급해야 하는 정당한 소비가 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이번 소송은 단순히 210억원의 문제는 아니다"라면서 "고물가 속에 우리가 먹는 피자 한쪽에 비용이 얼마나 붙어 있었는가를 묻는 말이 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가맹점주 권익 강화가 가격 형성 과정을 투명하게 해 결국 가격 안정성 확보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