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수요 되살아나...은행들 판매 재개 언제쯤?
고위험 상품 거점점포·적정성 보고서 준비
은행권이 비이자이익 확대를 꾀하는 가운데 ELS(주가연계증권) 판매 재개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금융당국은 판매 가이드라인을 확정하고 투자자 보호 장치를 제도화하면서 법적 정비까지 마쳤다. 증권사 중심으로 이미 수요가 살아나는 가운데, 은행도 수익 회복을 위한 판매·마케팅 재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24일 ‘2025년 상반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에 따르면 최근 증권사 중심으로 ELS 판매가 확대되고 있다.
주요 기초자산별로는 지수형 ELS 발행액은 11조30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조1000억원 증가했고 비중도 52.2%로 1.7%포인트 높아졌다. 종목형 ELS 발행액은 9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조2000억원 늘었지만, 비중은 1.4%포인트 감소한 42.6%로 파악됐다.
금감원은 “올해 들어 국내외 주가 상승과 금리 인하에 따라 ELS 투자수요가 일부 회복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상반기 ELS 투자자의 손익률은 연 5.3%로 지난해 상반기 보다 12.6%포인트 늘었다. H지수 기초 ELS가 대부분 상환되면서 ELS 투자수익률이 손실에서 이익으로 돌아섰다.
시중은행들은 ELS 판매 재개를 위한 밑작업에 돌입했다.
거점 점포 운영을 위한 시스템 정비와 실무 조율을 진행하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은행은 올해 초부터 모든 ELS 상품 판매를 접었고 우리은행만 고위험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원금을 보장하는 상품만 한정해 판매했다.
올해 2월 금융위원회의 권고로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점포 중 5~10%가량이 거점 점포로 지정될 예정으로, ELS 판매를 위해서는 별도 창구를 마련해야 한다. 은행권 관계자는 “PB센터 등 어디에서 판매할지 거점점포를 준비 중인 단계”라고 전했다.
또한 최근 금융소비자 보호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라 은행들은 금융소비자가 자신의 투자성향에 적합한 금융상품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부)적정성 판단 보고서'를 마련해야 한다.
중단됐던 ELS 마케팅 활동을 재개할 경우 수요를 더욱 끌어모을 수 있다. VIP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세미나, 프라이빗뱅킹(PB) 채널을 활용한 설명회, 온라인 뱅킹 앱을 통한 맞춤형 홍보 등이 다시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 고액자산가 고객층은 여전히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파생상품 수요가 높다.
과징금 이슈가 정리되면서 판매 불확실성도 일단락됐다. 금융당국이 H지수 ELS 과징금을 사후노력에 따라 최대 75% 감면해주기로 했기 때문이다. 금융사가 적극적으로 피해를 예방·수습하려 한다면 이를 감안하겠다는 것이다.
다만 소비자 보호 강화 기조 속에서 은행이 과거처럼 대규모로 판매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도 있다. 금융감독원은 적합성·적정성 원칙 위반 여부를 상시 점검할 계획이다. 특히 투자 성향에 맞지 않는 고객에게의 불완전 판매가 적발되면 제재가 즉각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은행 입장에서는 리스크 관리 부담이 크다.
판매 시점은 내년으로 미뤄질 전망이다. 최근 금소법 시행령과 금융감독원 감독규정, 금융투자협회 표준투자준칙 개정안 등이 입법예고된 가운데 효력 발생까지 3개월이 걸리기 때문이다. 또 은행 내부 통제 절차가 까다로워진 만큼 실제 판매 속도는 다소 늦춰질 가능성이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권이 다시 ELS 판매에 나설 수 있는 제도적·환경적 토대는 마련됐지만, 수익성 회복은 제한적일 수 있다”며 “은행권 입장에서는 예대마진 축소와 가계대출 성장 둔화라는 상황에서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 때문에 ELS 판매 열의는 여전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