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수출 120조 달성 전망... ‘SK하이닉스 효과’ 강조
3분기 누적 수출액 87.8조 달성 수출·납세·시가총액 규모 역대급
SK그룹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수출 호조에 힘입어 올해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인 120조원대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25일 밝혔다.
미래 성장사업 발굴과 동시에 채산성 확보가 어려워진 한계사업을 정리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사측은 강조했다.
SK하이닉스의 경영 실적이 납세 및 시가총액 증가 등으로 이어지면서 국가경제 전반에도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자평했다.
인공지능(AI) 거품론이 일며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지난달 말 이후 다시 52만원대로 떨어지는 등 반도체주가 출렁이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SK에 따르면 올들어 3분기까지 누적 수출 실적은 87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0% 증가했다. 4분기에도 성장세가 이어질 경우 연간 수출액은 지난해(약 102조5000억원)를 웃도는 120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사측은 보고 있다.
지난해 그룹 수출의 54%(55조2000억원)를 견인한 SK하이닉스는 올해는 3분기까지 그룹 전체 수출의 65%(56조7000억원)를 넘어서는 등 상승세에 있다.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까지 낸 법인세는 4조3000억원으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40억원)과 비교해 약 45배 늘어난 규모다. 시가총액은 지난 24일 종가 기준 379조원을 기록, 삼성전자에 이어 2위를 유지 중이다.
이는 기업구조, 재무구조, 지배구조 등에 관한 SK의 일관된 구조 개선으로 만든 성과라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지난 2012년 SK하이닉스 인수를 통해 기존 에너지 및 정보통신(ICT) 중심의 사업구조에 반도체, 인공지능(AI), 바이오 등을 추가한 것이 결정적이었다고도 덧붙였다.
증권가에서는 오는 4분기 SK하이닉스 매출과 영업이익이 시장 컨센서스를 넘어서고 내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회사의 D램 범용 제품의 영업이익 비중이 올해 3분기 50% 수준에서 내년 1분기 70% 수준으로 확대되고 영업이익률도 같은 기간 50%에서 70%로 증가, 내년 총 매출 136조원과 영업이익 80조원을 달성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는 지난해 실적 대비 각각 106%, 248% 증가한 규모다.
SK 측은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메모리반도체 수출 흐름을 토대로 올해 100조원 이상의 수출을 무리없이 달성할 것”이라며 “최태원 회장의 진두지휘 아래 AI, 반도체, 에너지, 바이오 등 미래 성장사업을 중심으로 투자와 고용을 이어가며 국가경제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오는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원을 투자하고 연간 8000명 이상의 채용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엔비디아 AI 반도체를 사용하는 고객사의 수익성 정체 등 흐름이 AI 거품론으로 번지면서 최근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의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