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통일의 미래상은 한 체제로의 통합인가 두 체제의 공존인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 과정에서 가장 기대되는 변화는 무엇인가?

평화와 통일을 위한 대구지역 사회적 대화 숙의토론 개최에 참여한 회원 / ⓒ 문해청 기자
평화와 통일을 위한 대구지역 사회적 대화 숙의토론 개최에 참여한 회원 / ⓒ 문해청 기자

[뉴스프리존,대구=문해청 기자] 평화통일비전 사회적 대화 전국시민회의는 9일 매일신문사 11층에서 평화 통일 비젼 마련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개최했다.

분단된 지 70년여가 지났고 지구상에서 냉전이 종식된 것도 한 세대 전 일이지만 남과 북은 여전히 과거 속에 살고 있다. 분단과 대결은 정치적 갈등과 군사적 위협 외에도 경제 사회 문화에 걸친 모든 영역에서 남북한 모든 구성원들의 삶을 위협하고 왜곡해왔다.

가장 큰 손실은 서로에 대한 불신과 혐오이다. 서로를 사라져야할 존재로 여기는 적대의 악순환이 사회구성원 모두를 패배자로 만들고 모든 이들의 자유 안전 행복을 위협해 왔다. 지난해 남북 북미 간 정상회담을 거치면서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를 위한 역사적 계기가 마련됐지만 아직 속 시원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는 못하고 있다.

조건과 환경 탓만 하고 있을 수 는 없다. 평화 통일비전 사회적 대화 전국시민회의가 사회적 대화를 시작하는 이유이다. 사회적 대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소위 진영논리이다. 진영논리에 갇히면 상대의 주장에 대해 눈과 귀를 막고 오로지 편협하고 일방적인 태도를 취하게 된다. 미움과 갈등의 악순환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 자신에게 돌아온다.

서로의 주장을 주의 깊게 듣고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인정하면서 최대공약수를 찾아가는 사회적 대화가 문제해결의 길이라고 확신 한다 바로 이것이 평화 통일 비젼 마련을 위한 사회적 대화이다. 1차 토론은 한반도 평화통일 체제, 2차 토론은 통일교육에서의 가치, 3차 토론은 한반도 평화통일의 지역사회의 원칙, 4차 토론은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지역사회의 역할에 참여한 회원들의 진솔한 대화로 이어졌다.

대구대학교 김정수 교수는 “괜찮은 포럼을 빠른 시일 내에 조직할 필요가 있다. 대학의 기능을 강화하고 시민단체들의 준비와 통일교육 단체와 기관 담당자의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평화통일을 위한 대구지역 사회적 대화에 참석한 김우철 사무처장은 "통일비용 보다 통일의 편익이 천문학적이다. 당장 주한미군비용부담만 하더라도 15조 상당으로 대구 경북 1년 예산을 합친 것보다 더 많다"고 지적했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국토교통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처장은 "작년 11월 방북했을때 북측에서는 남북철도연결사업이 차질없이 되느냐는 질문이 많았다. 철도가 연결되면 부산-로테르담까지 컨테이너 운송시간이 2주나 단축돼 무역국가인 대한민국이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하는 전기가 될 것이다. 또한 현재 철도망이 한반도차원으로 넓어지면 구로차량기지나 광명, 천안 등이 분담하는 업무가 칠곡, 대구까지 내려와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서대구역사는 기존 KTX노선 외에 산업선철도, 달빛내륙철도, 외곽순환철도까지 교차하는 교통의 중심축이 될 것이다. 정치권이 이러한 미래비전을 시민과 공유해서 통일로 접근하는 노력이 절실하다"고 통일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