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정주영 회장님의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해보고 나서 이야기 하도록 하지!” 이 말은 정주영 회장께서 즐겨 사용하시던 말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해 보지도 않고 지레 겁을 먹고 안 될 이유부터 찾는 것이 보통입니다. 저부터도 그랬었지요. 이와 비슷한 말이 2,500년 전에도 있었답니다.

《논어(論語)》<옹야편(雍也編)>에 보면 ‘역부족(力不足)’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염구라는 공자의 제자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말씀은 정말 훌륭하지만 실천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때 공자는 “힘이 부족한 사람은 일을 하다가 중도에 포기하는 사람이다.” 미리부터 나는 할 수 없다고 자신의 능력에 한계를 그어서는 안 된다고 충고합니다.

조선의 실학자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 선생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역부족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장진지효(長進之效)’를 강조하셨습니다. 장진지효! 길게 바라보고 꾸준하게 가다보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란 뜻입니다.『성불제중(成佛濟衆)』하겠다고 서원을 한 사람이 힘이 든다고 중도에 그만두면 부처가 될 수 있을까요? 중도에 포기하는 사람은 부처는커녕 범부(凡夫)나 면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목표를 정했다면, 우리 사전엔 역부족이란 단어는 없습니다. 될 때까지 노력하면 된다는 것이 공자의 가르침이이고 고 정주영 회장님의 가르침입니다. 성호 이익의 ‘장진지효’ 역시 똑 같은 말일 것입니다. 힘이 부족하다는 역부족이라는 소리를 하기 보다는 있는 힘을 다하여 꾸준히 목표에 매진하다 보면 결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봄 동산에 풀이 자라는 것은 당장 보이지 않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자라고 있는 것처럼 당장 할 수 없다고, 역부족이라고 포기하기보다는 꾸준히 노력하는 자세야말로 성공하는 사람들의 성공비법인 것입니다.

제가 피비린내 나는 사각의 정글에서 몸을 빼어 일원대도(一圓大道)에 귀의 한지 35여년이 지나갑니다. 사각의 정글에서 포효(咆哮)하던 한 마리 맹수가 뛰어 놀기에는 너무나 힘든 장소이고 세월이었습니다. 걸핏하면 뛰쳐나가 옛날의 동지들과 어울리고 싶은 충동에 얼마나 몸을 떨었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천만다행 제게는 호랑이보다도 더 무서운 조련사(操鍊師)가 계시어 광증(狂症)이 발동할 때 마다 무서운 채찍이 사정없이 날아 왔습니다.

중국 명(明)나라 시대의 보명화상(普明和尙)이지었다는「목우십도송(牧牛十圖頌)」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송(頌)을 읽으면 꼭 길 안든 미친 소와 같았던 저의 30년사를 더듬는 것과 같은 기분입니다. 아마도 장진지효란 이 ‘목우십도송’과 같은 경지를 이름이 아닌지요?

첫째, 길들기 전입니다.

사납게 생긴 뿔에 소리소리 지르며/ 산과 들에 달려가니 길이 더욱 멀구나./

한 조각 검정 구름 골 어귀에 비꼈는데/ 뛰어 가는 저 걸음이 뉘 집 곡식 범하려나.

둘째, 길들기 시작할 때입니다.

나에게 고삐 있어 달려들어 코를 뚫고/ 한 바탕 달아나면 아픈 매를 더하건만/

종래로 익힌 습관 제어하기 어려워서/ 오히려 저 목동이 힘을 다해 이끌더라.

셋째, 길들어 가는 것입니다.

점점 차차 길이 들어 달릴 마음 쉬어지고/ 물 건너고 구름 뚫어 걸음걸음 따라 오나/

손에 고삐 굳이 잡아 조금도 늦추잖고/ 목동이 종일토록 피곤함을 잊었어라.

넷째, 머리를 돌이킵니다.

날 오래고 공이 깊어 머리 처음 돌이키니/ 전도하고 미친 기운 점점 많이 골라졌다./

그렇건만 저 목동은 방심할 수 전혀 없어/ 오히려 고삐 잡아 말뚝에다 매어 두네.

다섯째,  길이 듭니다.

푸른 버들 그늘 밑 옛 시내 물가에/ 놓아 가고 거둬 옴이 자연함을 얻었구나./

날 저물고 구름 끼인 방초의 푸른 길에/ 목동이 돌아갈 제 이끌 필요 없었더라.

여섯째, 걸림이  없습니다.

한데 땅에 드러누워 한가하게 잠을 자니/ 채찍질을 아니 해도 길이 구애 없을러라./

목동은 일이 없이 청송(靑松)아래 편히 앉아/ 한 곡조 승평 곡에 즐거움이 넘치더라.

일곱째, 헌거롭습니다.

버들 언덕 봄 물결 석양이 비쳤는데/ 담연(淡淵)에 싸인 방초 쫑긋쫑긋 푸르렀다./

배고프면 뜯어 먹고 목마르면 물마시니/ 돌 위에 저 목동은 잠이 정히 무르녹네.

여덟째, 서로 잊는 것입니다.

흰 소 언제든지 백운중에 들었으니/ 사람 절로 무심하고 소도 또한 그러하다./

달이 구름 뚫어 가면 구름 자취 희어지니/ 흰 구름 밝은 달이서와 동에 임의로다.

아홉째, 홀로 비칩니다.

소는 간 곳 없고 목동만이 한가하니/ 한 조각 외론 구름 저 봉 머리 떠 있도다./

밝은 달 바라보고 손뼉 치며 노래하니/ 그래도 오히려 한 관문이 남아 있네.

열째, 일원상만 나타납니다.

소와 사람 함께 없어 자취가 묘연하니/ 밝은 달빛이 차서 만상이 공했더라./

누가 만일 그 가운데 적실한 뜻 묻는다면/ 들꽃과 꽃다운 풀 절로 총총(叢叢)하다 하리.

여러분은 목표를 세워 놓고 역부족이라고 지레 포기를 하시겠습니까? 덕화만발의 세계에는 포기는 없습니다. 오직 ‘장진지효’가 있을 뿐이지요. “자네, 해 보기나 했어?” 고 정주영 회장님의 고함 소리가 귓전을 때리네요! ‘장진지효!’ 이것이 우리의 갈 길 아닌지요!

단기 4352년, 불기 2563년, 서기 2019년, 원기 104년 12월 12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