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3일~25일 개인전 갖는 남농손자 허준 작가 어린시절 회상
"먹의 농담을 위해 붓을 혀에 가져다 대시는 모습 지금도 생생"

산수풍경을 극단의 조형성으로 몰아부쳐 사의적 조형성을 보여주고 있는  허준 작가

[뉴스프리존=편완식 미술전문기자]  “어릴 적 학교를 다녀 온 후 해가 어스름하게 질 때쯤이면 항상 할아버지의 화실에 저녁 인사를 드리러 가곤 했다. 화실 안은 항상 할아버지에게 그림을 배우는 제자들과 무슨 일로 찾아왔는지 모를 손님들로 항상 북적거렸었다. 할아버지는 나를 종종 무릎에 앉혔고 ,그림 그리는 전 과정을 구경 할 수 있게 해 주셨다. 그 시절엔 할아버지의 붓놀림에 산과 나무의 형상이 만들어지는 것이 마냥 신기했고 먹의 농담을 내실 적에 붓을 혀에 가져다 대시는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다. 그런 환경 속에서 성장해서인지 어릴 적부터 그림 그리는 걸 매우 좋아했지만 할아버지께서는 손자들이 그림을 그리는 걸 탐탁지 않게 생각하셨다. 한 평생 그림만을 그려 오셨던 할아버지로선 그 길이 얼마나 고되고 힘든지 알고 계셨기 때문이라 생각이 된다. 하지만 가장 즐겨하던 놀이는 연습장에 그림을 그리는 일이 되어 버렸고 자연스레 미대에 진학을 하게 되었다. 너무 어릴 적에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셔서 그림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눌 수 없었던게 아쉬움으로 남는다. 요즘도 힘들거나 지칠 때면 할아버지 기념관을 찾아 작품과 작업 도구들을 보며 혼잣말처럼 할아버지께 푸념도 하고 내 생각도 얘기를 드리곤 한다. 작업을 어떻게 풀어 나가야 할지 조언을 듣고 싶을 때가 많다. 할아버지는 당신의 인고의 삶에서 이미 그 길은 알려 주셨지만, 내가 아직 부족해서 미처 깨닫고 있지 못 할 뿐이라고 생각한다.“

남종화의 대가 남농 허건의 손자 허준이 전시를 앞두고 털어놓은 할아버지에 대한 얘기다. 그는 너무나 ‘큰 산’인  할아버지에 누가될까봐 그동안 손자라는 사실을 굳이 말하지 않고 살아왔다. 자칫 작가로서 할아버지 이름에 가려 자신의 세계를 제대로 펼치지 못할 것이란 우려도 한 몫했다. 사실 그는 작품으로 승부를 걸고 싶지 남농의 손자라는 이름 뒤에 가려지는  것이 싫다.

”내 이름 앞에 남농 손자가 붙는다는 것은 작가 허준으로서 아직미진하다는 얘기가 된다. 그래서 나는 작가 허준으로 당당히 서는 것이 바램이다.“

그는 요즘 작가로 살아남기 위해 알바(미술학원 강사)와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전업작가로 살아남기 위한 호구지책이다.

”기존의 작업들은 주로 산수풍경을 주제로 진행을 해 왔었다. 그것은 아마도 집안내력도 있지만, 주 관심사가 자연이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주제가 그 방향으로 흘러 간 듯하다.“

그의 작업이 산수풍경이라고 해도 옛 것의 답습은 아니다. 나름 시대적 미감에 맞는 이미지 구축이다.

”대상을 있는 그대로가 아닌 산행경험을 바탕으로 내 의식 속에 존재하는 기억의 풍경들을 재조합 해 이미지를 표현했다. 그 속에는 산행 중에 겪었던 여러 가지 사건과 그 당시의 심리상태 그때그때 느꼈던 감흥들도 녹아있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일종의 산행일기식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어느시점부턴가 내면의 심리상태에 방점을 두고 작업을 하기 시작했다.

”아마도 양평으로의 이주 시기부터다. 나름 시골이라 할 수 있는 양평에서의 작업은 내 자신에 대한 생각을 할 시간들이 더 많아지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작업방향도 변화를 겪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좌절과 기법적인 실패 충분히 표현되지 않는 이미지에서의 불만족 등 힘든 시간을 오랫동안 겪었고 그 과정에서의 결론은 한정된 하나의 이미지에 생각을 고정하지 않고 하나의 주제로 여러 이미지에 대입을 하는 것 이었다.“

결국 그에게는 이미지가 무엇이든 간에 자신을 대입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관건이 됐다.

”최근작들은 앞서 얘기했듯 철저히 나라는 한 인간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 되었다. 집안 형들에게서 느끼는 나의 콤플렉스 아니면 ,무엇인지 모르지만 답답하고 복잡하고 불편한 내 현실상황, 현재보다 더 나은 삶을 살고 싶은 내 욕망, 욕구 그런 상황들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심리 등 내 내면의 이런저런 생각들을 여러 이미지에 담는 작업들을 진행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날개, 새장,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파 등에 자신을 이입시키는 것이다. 날개라는 것은 자유, 희망, 비상, 탈피 등이 먼저 생각나는 이미지인 것처럼 현재의 답답하고 복잡한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망이다. 하지만 정작 날개들은 꺾여 져 있어 무의식적으로 작가의 현실을 드러내고 있는 듯하다. 이 시대 30~40대의 모습도 연상된다.

새장 안의 동식물들도 매한가지다. 사이사이로 비집고 나오려는 모습이 불편해 보인다. 그럼에도 전체적으로 보면 어울리는 이상한 상황이 다. 버거운 현실에 체념하고,순응하고 살아가는 모습과 닮아 있다.

”대파연작은 양평생활에서 나온 것이다. 작은 텃밭에 고추, 토마토, 대파같은 식물들을 키우기 시작했는데 다른 식물들과는 달리 추워지는 날씨에도 버텨내는 대파의 생명력에 감동이랄 것 까진 아니지만 어떤 미묘한 매력을 느끼게 되었다. 나 또한 저렇게 버티고, 버티다 보면 불완전한 내 심리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상황이 언젠가는 오지 않을까 하는 작은 희망을 가지게 된다. 아주 작은 것에서도 무언가를 느낄 수 있는 것은 시골 생활을 하지 않았다면 내 입장에선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앞으로도 한 동안은 자신의 심리상태를 주로 다루는 작업들을 계속 진행 할 예정이다. 그게 무슨 이미지이건 간에...

5월13일부터 25일까지 인사동 토포하우스에서 열리는 그의 전시 제목은 ‘THIS AND THAT’이다. 그냥 직역하면 이것저것이다. 작가로서의 다양한 모색이 응결된 표현이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