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안전 담보된 상태서 기업 피해도 최소화해야 '지적'

아이템에 대한 검증은 중요하지만, 이로 인해 영향을 받을 주체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Pixabay
아이템에 대한 검증은 중요하지만, 이로 인해 영향을 받을 주체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Pixabay

[뉴스프리존=김태훈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방역 관련 제품들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제품 원료 및 생산 공장이 부족해서, 주문량 폭주를 감당하기 힘들 지경이라고 한다.

이에 따른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위생 관련 기관의 검증을 받지 못한 제품들이 쏟아지며, 품질 문제가 대두되는 실정이다. 이중 하나가 바로 '살균수'다.

살균수는 전해수기(전기자극을 통해 살균효과가 있는 성분을 만들어주는 제품)를 통해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수(HOCL)와 정제수로 구성됐다. 차아염소산수는 강력한 살균 효과를 보이는 물질로 알려져있다.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데다, 성능도 좋다고 알려지는 분위기에서 기업들이 이를 놓칠리 없었다. 일부 발빠른 곳에서는 '파는대로 이익'이라는 계산으로 대량생산체제를 구축해놓은 곳도 있었다.

하지만 일부 매체에서 살균 효과 및 안전성 관련 의문을 제기하며, 제동을 걸었다. 환경부 또한 호흡기를 통해 흡입해도 안전한지 제대로 검증이 안 됐다며, 안전성에 대해 검토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상황이 급변하자 관련 업계는 울상이다. 살균 소독제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갑자기 판로가 막혀버린 것. 관계자들은 재고가 쌓이는 창고를 보며, 도산에 이를 지경이라고 하소연한다.

과거 '옥시 사태'로 홍역을 치렀던 아픔을 재발시키기 않기 위한 환경부의 조치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뚜렷한 안전 기준도 없는 상황에서 위해성 평가 조치를 내림과 더불어 평가 시행 움직임조차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전형적인 '무사안일주의'라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해당 주무관청에서 특정군 제품에 대한 유해성이 조금이라도 의심된다고 판단하고 조치를 내리게 될 경우, 안전한 물질로 대체할 수 있도록 사전에 유도해줘야 한다"며 "행정조치는 소비자들뿐 아니라 기업에게도 생사가 달린 문제인만큼, 이 부분도 심각하게 고려해줬으면 한다"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