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프리존]한 민 기자= 한국경제인연합회(한경협)가 지난해 외부 회계법인의 정기 감사를 받아야 하는 외감기업 가운데 부실기업 수가 4000개사를 넘을 것이라는 관측을 31일 내놨다.

한경협이 이날 발표한 ‘기업부실예측모형을 통한 2023년 부실기업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6425개사 중 4255개사(11.7%)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2022년 실제 부실기업 수(3856개사)보다 10.3% 늘어난 것으로, 2019년 이후 5년간 가장 높은 수치다.

평균 부실 확률 증가는 기업들의 전반적인 재무지표가 악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임대업과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이 부실 확률 상승을 견인했다. 이들 산업의 부실 확률은 각각 21.4%로 집계됐다.

교육 서비스업(14.2%),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3.9%), 운수업(13.4%) 순이었다.

부실 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이었다.

건설업의 부실 확률은 2019년 2.6%에서 지난해 6%로 4년 새 두배 넘게 올랐다.

부동산 대출 연체율 증가에 따른 부동산 경기 침체, 고금리 및 원자잿값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 등으로 인한 자금 경색 등  원인으로 분석됐다.

한경협 관계자는 “부실기업 증가는 금융과 실물경제 간의 리스크를 확대 재생산해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부실 위험을 경감하기 위해 자금조달 금리를 인하하고 기업활력제고법상의 사업재편 제도를 활용한 선제적인 사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부실기업 수 추정치는 한경협이 직접 설계한 기업부실예측모형에 최소자승법을 이용해 도출됐다.

업부실예측모형은 기업의 재무지표(자산·매출액·부채·이자비용)를 투입해 재무상태가 정상적인 기업이 ‘부실’로 전환될 확률을 산출하는 모형이다.

2018∼2022년 비금융업 외감기업(10만8244개)의 재무지표를 회귀분석해 설계됐다. 기업의 자산·매출액이 늘어날수록 부실 확률(정상 기업이 부실 상태로 전환될 확률)은 감소했으며, 부채·이자비용이 늘어날수록 부실 확률은 증가했다.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