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코로나19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에 기여한 커리코 커털린(68·헝가리) 헝가리 사간대 교수, 드루 와이스먼(64·미국)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 교수가 2일(현지시간) 선정됐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코로나19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 공로를 인정해 올해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두 사람을 선정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노벨위원회는 이들의 주요 공로로 "효과적인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을 가능하게 한 뉴클레오시드 염기 변형에 관한 발견"을 꼽았다.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은 mRNA가 어떻게 면역체계와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근본적으로 바꾼 획기적인 발견을 통해 현대 인류 건강에 가장 큰 위협 중 하나였던 시기에 전례 없는 백신 개발 속도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커리코 수석 부사장은 '백신의 어머니'로 불려왔으며 여성이 생리의학상을 받는 것은 이번이 13번째이다.

노벨위원회는 이날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3일 물리학상, 4일 화학상, 5일 문학상, 6일 평화상, 9일 경제학상 수상자를 차례로 발표한다.

역대 최연소 수상자는 당뇨병 치료제인 인슐린을 발견한 캐나다의 프레더릭 밴팅이다. 그는 1923년 32세 나이에 상을 받았다.

최고령 수상자는 미국의 페이턴 라우스로, 종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발견한 공로로 87세였던 1966년 수상했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메체는 또, 역대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얘기할 때 정신분석의 창시자로 저명한 심리학자이자 의사인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자주 거론된다. 그는 무려 32차례나 노벨생리의학상 후보에 올랐지만, 과학적 가치가 입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결국 상을 받지 못했다.

다음은 2000∼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및 수상 업적.

▲ 2023년: 커리코 커털린(헝가리)·드루 와이즈먼(미국)

=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에 기여

▲ 2022년 : 스반테 페보(스웨덴)

=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 등 인류 조상 게놈 연구

▲ 2021년 : 데이비드 줄리어스·아뎀 파타푸티언(미국)

= 온도와 촉각 수용체를 발견

▲ 2020년 : 하비 올터, 찰스 라이스(이상 미국)·마이클 호턴(영국)

= C형 간염바이러스를 발견해 간암, 간경변 등 질노벨병 치료 관련 연구에 공헌

▲ 2019년 : 윌리엄 케일린·그레그 서멘자(이상 미국)·피터 랫클리프(영국)

= 산소 농도에 따른 세포의 적응 기전에 관한 연구 공로 인정

▲ 2018년 : 제임스 앨리슨(미국)·혼조 다스쿠(일본)

= 면역 체계 단백질 연구를 통해 새로운 암 치료법 발견에 공헌

▲ 2017년 : 제프리 홀·마이클 로스배시·마이클 영(미국)

= '서캐디언 리듬'(24시간 주기리듬) 통제 분자 기구 발견

▲ 2016년 : 오스미 요시노리(일본)

= '오토파지'(autophagy·자가포식) 현상 연구

▲ 2015년 : 윌리엄 캠벨(아일랜드)·오무라 사토시(일본), 투유유(중국)

= 기생충 감염 연구(캠벨·오무라)와 말라리아 치료법 개발(투유유)

▲ 2014년 : 존 오키프(미국·영국), 마이브리트 모세르, 에드바르 모세르(이상 노르웨이 부부)

= 뇌세포의 위치정보 처리 체계 규명

▲ 2013년 : 제임스 로스먼, 랜디 셰크먼(이상 미국), 토마스 쥐트호프(독일)

= 세포의 운송 시스템인 소포유통을 조절하는 메커니즘 규명

▲ 2012년 : 존 거던(영국), 야마나카 신야(일본)

= 성체 세포로 유도만능줄기세포(IPS) 개발하는 방법 발견

▲ 2011년 : 브루스 보이틀러(미국), 율레스 호프만(룩셈부르크), 랠프 슈타인만(캐나다)

= 면역체계 활성화의 핵심원칙 발견

▲ 2010년 : 로버트 에드워즈(영국)

= 불임치료 길을 연 체외수정 기술 개발

▲ 2009년 : 엘리자베스 블랙번, 캐럴 그라이더, 잭 쇼스택(이상 미국)

= 텔로미어와 텔로머라아제에 의한 염색체 보호 기능 규명

▲ 2008년 : 하랄트 하우젠(독일), 프랑수아즈 바레-시누시, 뤽 몽타니에(이상 프랑스)

= 자궁경부암 유발 바이러스 규명(하우젠). 에이즈 바이러스 발견(바레-시누시.몽타니에)

▲ 2007년 : 마리오 카페키, 올리버 스미시스(이상 미국), 마틴 에번스(영국)

= 포유동물의 배아줄기세포와 DNA 재조합 연구

▲ 2006년 : 앤드루 파이어, 크레이그 멜로(이상 미국)

= 두 가닥으로 이뤄진 이중나선 RNA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RNA 간섭'현상 발견

▲ 2005년 : 배리 마셜, J. 로빈 워런(이상 호주)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발견 및 헬리코박터균이 위염·소화성 궤양 질환 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04년 : 리처드 액설, 린다 벅(이상 미국)

= 인간의 후각계통 작동 메커니즘 규명

▲ 2003년 : 폴 라우터버(미국) 피터 맨스필드(영국)

= 자기공명단층촬영장치(MRI) 개발에 기여

▲ 2002년 : 시드니 브레너, 존 설스턴(이상 영국), 로버트 호비츠(미국)

= 유전자가 인체기관의 발달 및 세포 자살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01년 : 릴런드 하트웰(미국), 티머시 헌트, 폴 너스(이상 영국)

= 세포 분열과정의 핵심 조절인자를 발견해 암 치료법 개발에 기여

▲ 2000년 : 아르비드 칼슨(스웨덴), 폴 그린가드, 에릭 캔들(이상 미국)

= 뇌세포의 상호 신호전달 원리를 밝혀 뇌 기능을 이해하고 신호변환 이상이 신경 및 정신질환을 유발하는 원인 규명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