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그만 던져버리세요

사람이 살아가면서 고(苦)와 락(樂)이 반반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낙은 짧고, 고는 길고도 깁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인생을 고해(苦海)라고 하신 것 같습니다. 그럼 그 괴로움을 탈피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우선 괴로움에 어떤 것이 있는지부터 알아봅니다.

첫째, 고민(苦悶)입니다.

마음속으로 괴로워하며 속을 태운다는 뜻입니다.

둘째, 근심입니다.

일이 잘 해결되지 않아 속을 태우거나 마음이 어둡고 가라앉는 것을 말합니다.

셋째, 걱정입니다.

걱정은 여러 가지로 마음이 쓰이는 감정을 의미하며, 불안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 심려(心慮), 염려(念慮), 근심 등이 있습니다.

넷째, 번뇌(煩惱)입니다.

중생은 사물을 대할 때에 그것을 욕심내어 소유하려 합니다. 그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마음을 애태우게 되며, 경쟁하고 싸움하며, 심지어는 살인까지 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복잡한 과정 속에서 마음의 평온을 얻지 못하여 생겨나는 정신적인 모순 모두를 번뇌라고 합니다.

다섯째, 고(苦)입니다.

다 괴로움을 나타내는 비슷비슷한 말입니다. 괴로움, 번뇌. 생각대로 되지 않는 것. 심신이 괴로워 불안한 상태를 말합니다. ‘낙’의 반대개념이지요. 불교에서는 이를 사고팔고(四苦八苦) 등으로 분류합니다. 즉, 일체개고(一切皆苦)라는 말입니다. 불교의 현실인식에서 나온 생각인데, 사성제(四聖諦)인 고⦁집⦁멸⦁도(苦集滅道諦) 중, 첫째인 고제(苦諦)를 말합니다.

불가(佛家)에서는 이 ‘고제’를 사고팔고(四苦八苦)라 하고, 온갖 괴로움과 심한 고통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그 고통 중에 태어나고 죽는 것을 반복하는 것을 ‘윤회(輪廻)'의 고통이라 여겼습니다. 그래서 그 ‘고’를 벗어나는 것은 해탈(解脫)이라 합니다.

그럼 이제 ‘사고팔고’의 뜻 을 한번 풀어 볼까요?

1. 생(生) : 내가 원하며 뜻하는 곳, 원하는 환경에 태어날 수 없습니다.

2. 노(老) : 사람은 태어나면 늙어 감을 피해갈 수 없습니다.

3. 병(病) : 사람은 병이 들고 아파하는 것을 피해갈 수 없습니다.

4. 사(死) : 사람은 신분과 직위를 막론하고 죽음을 피해갈수 없습니다.

5. 애별리고(愛別離苦)입니다.

아무리 사랑하는 사람일지라도 이별이 다가 오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6. 원증회고(怨憎繪苦)입니다.

원망스럽거나 증오스러운 사람과의 만남이 내 뜻대로 되지 않습니다.

7. 구부득고(求不得苦)입니다.

원해도 생각대로 구하거나 생각대로 되지 않습니다.

8. 오음성고(五陰盛苦)입니다.

마음도 몸도 내 의지와 신념의 뜻대로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생로병사의 네 가지 괴로움과 나머지 ‘사고’를 합해 ‘팔고(八苦)’라 하는 것이지요. 번뇌란 마음에서 생겨나는 것입니다. 그럼 그 온갖 괴로움을 없애버리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이제 그만 던져버리는 것입니다.

나이 지긋한 현자(賢者) 한 분이 숲속을 산책하고 있을 때, 한 청년을 만났습니다. 그 청년은 고뇌와 고민이 가득한 표정으로 숲길에 앉아 있었습니다. 의아하게 여긴 현자가 청년에게 무엇이 그렇게 힘들어서 멍하니 앉아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한숨을 쉬던 청년은 자신의 고민거리들을 줄줄이 이야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청년의 고민을 묵묵히 듣고 있던 현자가 작은 돌멩이 하나를 들어 올리며 청년에게 말했습니다. “자네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잠시 내가 시키는 대로 따를 생각이 있는가?” 반신반의하는 청년이 고개를 끄덕이자 현자는 돌멩이를 건네주며 말했습니다.

“이 돌멩이를 머리 위로 들어 올려보게!” 현자의 말이 끝나자 어렵지 않은 일이라 청년은 대뜸 돌멩이를 받아 머리 위로 들어 올렸습니다. 그런데 10분이 지나고 20분이 지나도 돌을 계속 들고 있도록 하자, 청년의 팔이 부들부들 떨리기 시작했습니다.

‘도대체 내가 지금 뭘 하는 거지?’ 울컥 화가 난 청년이 돌멩이를 집어 던지자 현자가 빙긋 웃으며 말했습니다. “바로 그 돌멩이가 자네의 고민거리일세. 가볍고 대단치 않아 보이지만, 시간이 길어질수록 자네를 더욱더 괴롭고 힘들게 만드는 것이네. 유일한 해결책은 지금 자네가 한 것처럼, 그냥 집어던지면 된다네.”

어떻습니까? 우리 삶에서 걱정은 이 돌멩이와 같습니다. 오랜 시간 고민한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고통이 커지기만 하지요. 이제 그만 던져버리세요. 그 고민에 마음이 계속 붙잡혀 있으면, 당신의 몸과 마음이 굳은 채, 더는 아무 일도 하지 못하게 됩니다.

티베트 속담에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이 없겠네.’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의 인생은 절망하기 위해서 태어난 것이 아닙니다. 사랑하고 살아도 길지 않습니다. 이제 그런 고통일랑 돌멩이 던져버리듯이 던져버리는 것입니다. 바로 그것이 해탈이요, 열반(涅槃)입니다.

성인(聖人)도 시비(是非)나 증애(憎愛)는 있습니다. 그러나 오직 공(公)을 표준 하여 시비를 가리고, 끌림 없는 마음으로 증애를 하기 때문에 ‘고’ 가운데 ‘낙’을 수용하여 해탈을 얻는 것입니다. 우리 이제 그 고민일랑 던져버리면 어떨 까요!
단기 4352년, 불기 2563년, 서기 2019년, 원기 104년 3월 29일

덕 산 김 덕 권(길호) 합장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