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지 감수성' 판결 문제점 지적, 젊은 남성들 '공공의 적' 여가부 통폐합도 언급

[ 고승은 기자 ] = 국민의힘 대선경선에서 '여론조사' 결과에선 홍준표 의원이 앞섰으나, '당심'에선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압도적으로 밀며 결국 윤석열 전 총장이 최종 후보로 선출됐다. 실제 청년층에서는 압도적으로 홍준표 의원을 밀었으나, 60대 이상에선 윤석열 전 총장에게 몰표를 줬다. 

많은 청년들 표심이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을 비토하면서 국민의힘으로 옮겨갔다. 이같은 원인으로는 '개헌 빼고 다할 수 있는' 의석을 받고도 각종 개혁과제를 '강 건너 불구경' 하듯 대했다는 점, 부동산 상승 문제, 시대착오적 페미니즘 우대 정책 등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즉 '정치적 효능감'을 주지 못하면 가차없이 심판한다는 것이 시대의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젊은 세대다. 

국민의힘 대선경선에서 '여론조사' 결과에선 홍준표 의원이 앞섰으나, '당심'에선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압도적으로 밀며 결국 윤석열 전 총장이 최종 후보로 선출됐다. 실제 청년층에서는 압도적으로 홍준표 의원을 밀어줬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경선에서 '여론조사' 결과에선 홍준표 의원이 앞섰으나, '당심'에선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압도적으로 밀며 결국 윤석열 전 총장이 최종 후보로 선출됐다. 실제 청년층에서는 압도적으로 홍준표 의원을 밀어줬다. 사진=연합뉴스

이같은 표심은 지난 4월 재보궐선거를 통해 여지 없이 드러나기도 했으며, 이어 이준석 대표가 당내 중진 정치인들을 모두 제치고 국민의힘 당대표로 선출되는 '이변'까지 낳기도 했다. 이런 과정에서 국민의힘엔 청년들이 대거 당원으로 가입했으며, 홍준표 의원을 대선후보로 미는 여론이 등장했다.

그러나 이번에 홍준표 의원이 대선후보로 선출되지 못하면서, 실망을 느낀 청년들이 국민의힘에 탈당계를 잇달아 제출하는 모습이다. 실제 '펨코(에펨코리아)'를 비롯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국민의힘 탈당'을 경쟁적으로 인증하는 글들이 무더기로 발견되고 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을 '틀딱의힘'이라고 비난하는 젊은 층의 모습이 눈에 띈다.

실제 여론조사상에서도 홍준표 의원에 대한 강한 지지세가 두드러졌다. 이같은 원인에는 그의 공약이 젊은 층, 특히 젊은 남성들에게 매우 솔깃하게 다가왔던 것으로 분석된다. 그는 '페미니즘' 대신 '휴머니즘·패밀리즘'을 지향하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홍준표 의원은 젊은 남성들에게 '폐지 0순위' 부서이자 '공공의 적'으로 꼽히는 여성가족부에 대해 타 부처와 통합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여성가족부는 '시대착오적 페미니즘'을 고집하며, 사회의 젠더 갈등만 부추기고 있다는 질타를 끊임없이 받아오고 있다. 

특히 홍준표 의원은 젊은 남성들에게 '폐지 0순위' 부서이자 '공공의 적'으로 꼽히는 여성가족부에 대해 타 부처와 통합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는 '페미니즘' 대신 '휴머니즘·패밀리즘'을 지향하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홍준표 의원은 젊은 남성들에게 '폐지 0순위' 부서이자 '공공의 적'으로 꼽히는 여성가족부에 대해 타 부처와 통합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는 '페미니즘' 대신 '휴머니즘·패밀리즘'을 지향하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즉 80~90년대 성차별이 만연했던 그런 시기의 잣대로 2020년대에까지 '여성 우대' 정책을 내세우는 곳이 여가부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문재인 정부는 여가부 장관으로 늘 '여성운동가' 출신들을 앉혔고, 이들 장관들의 발언은 자주 구설수에 오르내렸다. 

이는 '남성'이라고 해서 어떠한 혜택도 받은 것이 없는 젊은 남성들의 거센 불만을 낳고 있다는 점이다. 오히려 군복무 등 남성이 받는 '역차별' 문제에는 문재인 정부가 꽤 무심했다는 지적이 쏟아지며, 청와대 국민청원에서도 '여가부 폐지' 건에 있어 '성의 없는' 답변을 내곤 했었다. 

홍준표 의원은 '휴머니즘' 공약으로 △시대 변화에 맞게 여성할당제 점진적 폐지 △흉악·상습 성범죄자에 대한 화학적 거세 강력 집행 △현행 전자발찌 제도의 실효성 강화 △주취경감, 촉법소년 등 현실과 맞지 않는 법제도 개정 등을 내걸었다.

홍준표 의원은 젠더 갈등에 대해 "'성인지 감수성'을 도입한 대법원 판결로 특히 남성들, 또 2030세대의 불만이 극에 달해 있어 이런 문제도 우리가 다시 한 번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즉 피해를 주장하는 이의 진술이 일관되지 못하거나, 행동에 모순점이 있더라도 이를 '무죄의 증거'로 판단하지 말라는 것이 '성인지 감수성'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증거나 정황 등이 불충분하더라도 재판부가 남성에게 '유죄'를 선고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즉 불분명한 증언만으로도 남성에 대해 '무고'를 씌울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면서, '남성'이라고 어떠한 혜택도 받은 것이 없는 젊은 남성들의 불만이 거셌다. '성범죄' 처벌에 강하게 찬성하지만, 무고 피해자는 낳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홍준표 의원의 이런 '맞춤형' 공약들로 인해, 청년들의 인기가 꽤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홍준표 의원의 입담과 유머감각은 예능프로에서도 꽤 먹힐 정도로 강력하며 대중에 매우 친숙하다는 점도 있다. 사진=연합뉴스
홍준표 의원의 이런 '맞춤형' 공약들로 인해, 청년들의 인기가 꽤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홍준표 의원의 입담과 유머감각은 예능프로에서도 꽤 먹힐 정도로 강력하며 대중에 매우 친숙하다는 점도 있다. 사진=연합뉴스

홍준표 의원은 '패밀리즘' 정책에 대해선 "국가와 사회 그리고 가정이 출산과 육아, 보육을 함께 책임지도록 하겠다"며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이 기쁨과 보람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홍준표 의원은 이른바 '2050 희망플랜'을 '패밀리즘' 정책으로 내세웠다. 그는 △출산 정책을 중앙정부 차원으로 통합 △각종 보조금·수당 등을 모아 만 12세까지 통합 지원 △부모에게 ‘직접 지급하는 방식’으로 전환 △두 자녀부터 지원하던 것을 한 자녀부터 체계적으로 지원, 자녀 수가 많을수록 더 많이 지원 등의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홍준표 의원은 이밖에도 '수시 전면 폐지, 수능 2회 실시에 100% 정시' '사법고시 부활 및 로스쿨·의전원 폐지' '모병제 전환'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즉 청년들이 꾸준히 제기하는 '공정' '기회의 평등'에 초점을 최대한 맞추고, 반영하려 한 것으로 분석된다. 

홍준표 의원의 이런 '맞춤형' 공약들로 인해, 청년들의 인기가 꽤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홍준표 의원의 입담과 유머감각은 예능프로에서도 꽤 먹힐 정도로 강력하며 대중에 매우 친숙하다는 점도 있다. 그가 막말로 수없이 구설수에 오르내리면서도, 무려 20여년간을 정치권에서 생존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청년들은 실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언급했듯, 민주화-산업화 이분법을 거부하고 있다는 점이다. 젊은 세대는 '민주화 세력'을 무조건 선하고 유능한 세력이라고 절대 판단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왜 올해 들어 청년들의 '홍준표 지지' 여론이 급증했는지, 그의 공약부터 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홍준표 의원이 아직 '실천'으로까지 보여준 적이 없음에도, 왜 열렬한 환대를 받고 있는지 직시해야 한다는 점이다. 사진=연합뉴스
왜 올해 들어 청년들의 '홍준표 지지' 여론이 급증했는지, 그의 공약부터 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홍준표 의원이 아직 '실천'으로까지 보여준 적이 없음에도, 왜 열렬한 환대를 받고 있는지 직시해야 한다는 점이다. 사진=연합뉴스

이들은 당만 보고 '묻지마 투표'하지 않으며, 후보의 능력과 공약을 꼼꼼하게 파악하면서 '정치적 효능감'에 따라 투표한다는 점이다.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선 그럴 듯하게 말로만 하지 말고, 행동으로 사회개혁 과제들을 처리하며 '밥값'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선거에서 이기려면 중도층을 잡아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외치면서 여전히 80년대의 낡은 '정치공학적' 사고로 2020년대를 바라보고 있는 것이 아닌지 물을 수밖에 없는 내용이다. 

정치권은 말로는 '청년'을 위하고 소통한다고 외치면서, 정작 그들의 외침은 무시하고 있는 게 아닌지 의심스러운 부분이다. 왜 올해 들어 청년들의 '홍준표 지지' 여론이 급증했는지, 그의 공약부터 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홍준표 의원이 아직 '실천'으로까지 보여준 적이 없음에도, 왜 열렬한 환대를 받고 있는지 직시해야 한다는 점이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