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처럼 '국힘은 군사독재세력 후예'로 설득 못해, '디지털 세대'는 '합리적'이고 '꼼꼼'하다

[ 고승은 기자 ] = 더불어민주당 내 개혁주자들인 이재명 대선후보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당 상임고문), 이들이 현재 2030 청년세대를 바라보는 시각은 결이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때는 민주당에 열렬한 지지를 보냈던 2030세대들이 왜 민주당에 등을 돌렸는지, 이들은 이 원인을 제대로 진단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추미애 전 장관은 지난 22일 공개된 딴지방송국 '김어준의 다스뵈이다'에 출연해 "중도층이라는 게 보수와 진보의 틈바구니에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고 20~30대는 정치가 희망을 안 주면 정치를 좋아할 수 없는 거 아닌가"라며 "20~30대가 바라는 것은 우리 사회가 땀흘린 만큼 노력한 만큼 보상이 주어지는 사회"라고 진단했다.

더불어민주당 내 개혁주자들인 이재명 대선후보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당 상임고문), 이들이 현재 2030 청년세대를 바라보는 시각은 결이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때는 민주당에 열렬한 지지를 보냈던 2030세대들이 왜 민주당에 등을 돌렸는지, 이들은 이 원인을 제대로 진단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내 개혁주자들인 이재명 대선후보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당 상임고문), 이들이 현재 2030 청년세대를 바라보는 시각은 결이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때는 민주당에 열렬한 지지를 보냈던 2030세대들이 왜 민주당에 등을 돌렸는지, 이들은 이 원인을 제대로 진단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사진=연합뉴스

추미애 전 장관은 "우리가 이들한테 접근할 수 있는 정책들을 꺼내고 사회 구조를 바꿔주려는 노력을 해야 하고 그것이 정치생산성, 정치효능감인데 그거 없이 막연히 이념 프레임에 갇혀 좌우 중도라는 고정관념이 있는 것"이라며 "그 중도관념은 586세대들 머릿속에 있는 관념적인 것"이라고 꼬집었다. 

추미애 전 장관은 즉 정치효능감과 정치생산성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 실력이고, 이게 바로 개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좌우 세력 속에서 이념프레임에 스스로 자빠져서 정치효능감을 보여주지 못하는 민주당을 자꾸 깨우쳐야 한다. 그래야지만 이번 대선도 이긴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재명 대선후보도 지난 3월 30일 '청년들은 민주화, 산업화 이분법을 거부할 뿐입니다'라는 제목의 페이스북 글을 통해, 추미애 전 장관과 같은 취지의 생각을 밝힌 바 있다. 이재명 대선후보는 "청년 민심을 바라보는 저의 시각은 간명하다. 띄엄띄엄 보지 않는 것"이라며 "모든 국민들이 그렇듯 청년들 역시 각자의 판단에 따라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주권자"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선후보는 "오늘날의 청년은 민주화와 산업화라는 이분법을 거부한다"며 "민주화 세력이 피 흘려 이룩한 민주주의를 긍정하면서도 산업화 세력이 땀흘려 쌓아온 경제성장의 공 또한 인정한다. 독재와 기득권을 옹호하는 주장을 단호히 거부하지만 그렇다고 민주화 세력의 모든 것을 절대 선으로 간주하지도 않는다"고 진단했다.

이재명 대선후보는 "이런 청년들을 두고 ‘선택적 분노’를 보인다며 나무라는 분들도 있다. 부디 그러지 않으셨으면 좋겠다”며 "’선택적 분노’라고 불리는 현상은 역으로 양 진영에 대한 청년들의 기대치가 다르다는 뜻이다. 불과 4년전, 무능하고 부패한 박근혜 정부를 송두리째 무너뜨린 촛불의 선두에 우리 청년들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선후보는 “청년들을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언행일치의 자세로 실력과 성과로 증명하는 길밖에 없다”며 “불공정을 바로잡고 양극화를 해소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할 때 비로소 책임있는 정치세력으로서 청년들 앞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미래가 불안한 청년들에겐 반드시 '성과'로 입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선후보는 “청년들을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언행일치의 자세로 실력과 성과로 증명하는 길밖에 없다”며 “불공정을 바로잡고 양극화를 해소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할 때 비로소 책임있는 정치세력으로서 청년들 앞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미래가 불안한 청년들에겐 이들의 삶을 바꿔줄 수 있도록 반드시 '성과'로 입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선후보는 “이들을 설득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언행일치의 자세로 실력과 성과로 증명하는 길밖에 없다”며 “불공정을 바로잡고 양극화를 해소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할 때 비로소 책임있는 정치세력으로서 청년들 앞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그는 청년들이 "'내 삶'을 바꾸는,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꿈꿀 수 있는 변화의 정치를 열망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선후보와 추미애 전 장관의 입장을 요약하면, 즉 청년세대를 설득하려면 '언행일치'의 자세로 실력·성과를 증명하는 길밖에 없다는 것이다. 즉 투표를 해서 '내 삶이 조금이라도 바뀔까'라는 정치적 기대감을 넘어 '내 삶이 바뀐다'는 '효능감'까지 증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려면 기존의 불합리한 사회구조에 대한 과감한 개혁, 즉 공익을 위한 성과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과거처럼 말로만 그럴 듯하게 해놓고 정작 유의미한 성과로 증명하지 못하는 정치세력은 '불통, 말장난'에 불과한 만큼, 반드시 심판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청년세대로 갈수록 과거처럼 '묻지마 투표' 따위는 없다는 것이다. 현실에 안주하면서 자신의 국회의원 재선만을 안이하게 노리는 정치인들에게, 더 이상 줄 표는 없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서 다시 보기 힘들 초유의 압승, 또 지난해 총선에서도 180석이라는 '개헌 빼고 다할 수 있는' 거대 의석을 확보했음에도 표를 던져준 유권자들에게 유의미한 정치적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에서다. 

검찰개혁·언론개혁·재정개혁·사법개혁 등 얼마든지 많은 과제들을 단시간 내에 얼마든지 처리할 수 있었음에도, 언론의 눈치만 보는 듯한 태도로 일관해왔었다. 특히 언론개혁은 시민들의 70~80%가 공감한다는 여론이 있었음에도 결국 눈치만 보다가 '누더기' 법안마저도 아직까지 처리하지 못했고, 더 큰 과제인 포털개혁은 아직 손조차 대지 못했다. 

지난해 거대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은 검찰개혁·언론개혁·재정개혁·사법개혁 등 얼마든지 많은 과제들을 단시간 내에 얼마든지 처리할 수 있었음에도, 언론의 눈치만 보는 듯한 태도로 일관해왔다. 즉 '정치적 효능감'을 보여주지 못한 것이다. 이로 인해 지난 4월 서울시장-부산시장 재보궐선거에서 '역대급 참패'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거대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은 검찰개혁·언론개혁·재정개혁·사법개혁 등 얼마든지 많은 과제들을 단시간 내에 얼마든지 처리할 수 있었음에도, 언론의 눈치만 보는 듯한 태도로 일관해왔다. 즉 '정치적 효능감'을 보여주지 못한 것이다. 이로 인해 지난 4월 서울시장-부산시장 재보궐선거에서 '역대급 참패'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다. 사진=연합뉴스

시민들에게 많은 지탄을 받은 재난지원금 '선별' 지급이나 부동산 가격 급등, 자영업자에 대한 소극적 지원 등은 결국 '기획재정부'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임명직'인 홍남기 경제부총리에 끌려다니는 모습으로 일관하면서, 어떠한 정치적 효능감도 보여주지 못했던 것이다. 특히 지난 4월 재보궐선거 직전 LH 사태가 터졌을 때도, 제대로 된 대응조차 하지 못하여 우왕좌왕했다. 그만큼 충분한 '힘을 줘도' 쓰지 못하는 세력을 유권자들은 더욱 경멸한다는 점이다. 

과거 세대는 군사독재정권으로부터 '반공교육'과 '지역감정'이라는 주입을 오랜 세월 받아왔다. 즉 투표 성향이 뚜렷한 경우가 많았던 반면 2030 청년 세대들은 이런 '이념 프레임'에서 자유롭다는 것이다. 디지털에 매우 익숙하며 세상 변화에도 민감한 이들은 정치인의 공약이나 발언 등을 꼼꼼히 찾아보고, 누가 자신에게 이득이 될 지를 합리적으로 판단한다는 것이다. 

즉 민주당 입장에선 과거의 정치적 문법처럼 "국민의힘은 인권을 말살하던 군사독재세력 후예"라고만 외친다고 해서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젊은 세대를 설득할 수 없다는 것이 이재명 대선후보와 추미애 전 장관의 지적인 셈이다. 과거처럼 '우리 싫다고 쟤네 찍을 거야?' 이런 식의 속내를 내보이며 '개혁' 과제에 손놓다가는 청년들에겐 아주 처참하게 외면당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또 현재 대다수 정치인들이 하는 것처럼 '페미니즘'을 우대하며, '성차별'이 심각했던 수십 년 전의 시각으로 현 세상을 진단하다가는 역풍을 거세게 맞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특히 '여성' 국회의원, 장·차관 등 일부 고위직을 균형적으로 할당한다고 해서 성차별이 해소될 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그들만의 대착각이라는 것이다.

2030 청년세대들은 '성차별'을 거의 겪은 세대가 아니며, 남성이라고 해서 어떠한 우대를 받은 게 없다. 분명 여성에 대한 '차별' 뒤에는 남성에 대한 '역차별'도 존재하는 만큼, 어떠한 점이 문제인지 구체적으로 수렴하고 풀어가려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청년세대들은 분명 수년 전엔 '박근혜 국정농단'에 가장 분노하던 세대였다. 정권 초기에는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에 많은 지지를 보냈으나, 현재는 세계적으로 극찬받은 'K방역'의 성과에도 싸늘하게 대하는 여론이 높다는 점이다. 사진=연합뉴스
청년세대들은 분명 수년 전엔 '박근혜 국정농단'에 가장 분노하던 세대였다. 정권 초기에는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에 많은 지지를 보냈으나, 현재는 세계적으로 극찬받은 'K방역'의 성과에도 싸늘하게 대하는 여론이 높다는 점이다. 사진=연합뉴스

이들 청년세대들은 분명 수년 전엔 '박근혜 국정농단'에 가장 분노하던 세대였으며,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에 많은 지지를 보내왔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극찬받은 'K방역'의 성과에도 문재인 정부를 싸늘하게 대하는 여론이 크게 높아진 점, 민주당이 국민의힘에게 지지율 역전까지 당하고 현재 정권심판론이 더 높다는 점에 대한 철저한 통찰과 반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정치인들은 선거에선 '중도'를 잡아야 한다고 입버릇처럼 되뇌인다. 기존의 정치적 문법으로는 '우클릭' '좌클릭' '중도개혁' '중도통합' 등을 외친다. 그러나 이렇게 할 경우 결국 상대 당과의 '협치' '상생'으로 이어지며, '개혁성' '선명성'은 저 멀리 실종되고 현실에 안주하게 된다. 개혁성이 실종된 정치는 결국 시민들의 더 많은 참여가 아닌 '그들만의 나눠먹기'로 전락하며 외면당하기 십상이며, 시민들에게 어떠한 '효능감'도 주지 못한다.

이재명 대선후보와 추미애 전 장관은 과거의 정치적 문법과는 다른 시각에서 현재 정치를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재명 후보는 '말한 것은 반드시 지킨다'는 높은 공약이행률, 즉 '언행일치' 자세를 보여주면서 대선후보 자리에 섰다. 그렇게 '이재명은 합니다'는 슬로건으로 성과를 증명한 그가 과연 청년층에 호소할 수 있는 공약으로 어떤 공약을 내놓을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