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프리존]조은정 기자=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프론트홀(Fronthaul) 고속 전송 가용 파장 확대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프론트홀은 5G 기지국의 중앙 장치(DU, Digital Unit)와 분산된 무선 장치(RU, Radio Unit)들을 연결하는 유선망이며 '이동통신의 모세혈관'으로 알려져 있다.

프론트홀 고속 전송 가용 파장 확대 기술은 SKT, 광송수신기 모듈 제조사 오이솔루션, 초고속 통신솔루션 전문업체 포인투테크놀로지가 공동 개발했다.
SKT 측은 5G 상용화 후 프론트홀을 구성하는 광통신망의 전송 속도가 최대 10Gbps에서 25Gbps로 늘어났으나, 실제 25Gbps 이상의 속도로 광신호를 전송할 경우 일부 파장 대역에서 신호의 폭이 퍼져 품질 저하 및 최대 전송 거리 제약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SKT의 프론트홀 파장 확대 기술은 광신호 폭이 넓어지는 현상을 해결하는 분산보상 기능이 내장된 광트랜시버(전기신호↔빛의 신호 변환)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다. 기존의 기지국망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SKT 류탁기 인프라 기술담당은 "25Gbps급의 분산 보상 기능이 내장된 광트랜시버는 무선 서비스망을 효율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5G 고도화 과정과 6G 서비스를 위해서 안정적인 유선망 구축을 위한 기술 확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KT는 지난 2일부터 5일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OECC(Opto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Conference, 광전자 및 광통신 국제학술회의)에 참가, 5G 프론트홀 기술 개발 현황과 아이온(IOWN, Innovative Optical & Wireless Network) 협력 기반 저전력·고용량 6G 프론트홀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