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원, 8월 셋째주 가격 동향 조사 결과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나란히 0.07% 상승
[서울 =뉴스프리존]박영수 기자=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이 지속 상승하는 가운데 지방도 68주 만에 상승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3년 8월 3주(8월 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7% 상승, 전세가격은 0.07% 상승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07% 올라 지난주(0.04%) 대비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08%→0.12%) 및 서울(0.09%→0.14%)은 상승폭 확대, 지방(0.00%→0.02%)은 상승 전환됐다. (5대광역시(0.00%→0.02%), 세종(0.10%→0.08%), 8개도(0.00%→0.02%))
시도별로는 서울(0.14%), 경기(0.12%), 세종(0.08%), 경북(0.08%), 인천(0.06%) 등은 상승, 전남(-0.06%), 제주(-0.05%), 부산(-0.03%), 전북(-0.01%), 광주(-0.01%)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4→106개) 및 보합 지역(10→19개)은 증가, 하락 지역(72→51개)은 감소했다.
수도권은 0.12% 올랐다. 서울 0.14% 상승, 인천 0.06% 상승, 경기 0.12%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급매물 소진 후 관망세를 보이는 구축 대비 신축 및 정주 여건 양호한 선호단지, 정비사업 기대감 높은 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 발생한 후 매물가격 추가 상승 이어가며 상승세가 지속됐다. 강북 14개구는 평균 0.11% 올랐다. 성동구(0.25%)는 행당·금호동 대단지 위주로, 용산구(0.21%)는 한남·이촌동 주요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20%)는 장안‧답십리동 위주로, 마포구(0.20%)는 염리‧대흥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강북 전체 상승폭 확대 추세다.
강남 11개구는 평균 0.16% 올랐다. 송파구(0.37%)는 잠실·신천동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0.20%)는 압구정·대치동 주요단지 위주로, 양천구(0.18%)는 목·신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동구(0.18%)는 고덕·암사동 위주로 상승하는 등 강남 전체 상승폭 확대 중이다.
인천은 지난주 0.08%에서 이번주 0.06% 오르는 데 그쳤다. 미추홀구(-0.08%)는 신규 입주 예정물량 영향으로 용현‧주안동 위주로, 동구(-0.02%)는 만석‧송림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중구(0.36%)는 영종도 내 대규모 단지 밀집지역인 운서‧중산동 위주로, 연수구(0.14%)는 송도‧연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남동구(0.13%)는 간석‧만수동 위주로 상승하며 인천 전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주 0.08%에서 이번주에는 0.12% 올랐다. 동두천시(-0.29%)는 생연‧지행동 위주로, 광주시(-0.11%)는 쌍령동‧초월읍 위주로, 김포시(-0.10%)는 운양‧마산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46%)는 별양‧중앙동 주요 단지 위주로, 화성시(0.44%)는 목‧오산동‧남양읍 위주로, 하남시(0.42%)는 정주 여건 양호한 망월‧풍산동 위주로, 성남 수정구(0.37%)는 수진‧창곡동 위주로 상승하며 경기 전체의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방은 0.02% 올랐다. 5대광역시 0.02% 상승, 세종 0.08% 상승, 8개도 0.02% 상승했다.
대구는 지난주 0.05% 올랐고 이번주 0.06% 상승했다. 달성군(0.16%)은 정주 여건 양호한 화원·유가읍 위주로, 달서구(0.08%)는 이곡·용산동 중저가 위주로, 중구(0.05%)는 남산·대신동 (준)신축 위주로 상승했다.
대전은 지난주 0.03% 상승했고 이번주는 0.06% 올랐다. 서구(0.08%)는 내·탄방동 대단지 위주로, 유성구(0.08%)는 주거환경 양호한 상대·지족동 위주로, 중구(0.05%)는 중촌·태평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세종은 지난주 0.10% 올랐으나 이번주는 0.08% 오르는 데 그쳤다. 보람·나성·다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북은 지난주 0.06% 올랐고 이번주는 0.0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주시(0.20%)는 복룡·신봉동 위주로, 김천시(0.17%)는 신음·부곡·율곡동 위주로 상승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7% 올라 지난주(0.04%)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0%→0.15%) 및 서울(0.11%→0.15%)은 상승폭 확대, 지방(-0.01%→0.00%)은 보합 전환됐다. (5대광역시(-0.02%→-0.01%), 세종(0.13%→0.21%), 8개도(-0.01%→0.00%))
시도별로는 세종(0.21%), 경기(0.16%), 서울(0.15%), 대전(0.09%), 인천(0.08%) 등은 상승, 경남(0.00%)은 보합, 부산(-0.05%), 전북(-0.03%), 제주(-0.02%), 전남(-0.02%), 대구(-0.02%)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89→102개) 및 보합 지역(13→16개)은 증가, 하락 지역(74→58개)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평균 0.15% 상승했다. 서울 0.15% 상승, 인천 0.08% 상승, 경기 0.16% 상승했다. 서울은 지난주 0.11% 올랐고 이번주는 0.15% 상승했다. 여름 휴가철이 마무리되고 가을 이사철 이전 임차 문의 늘어나며 지역 내 역세권 및 학군지 등 정주 여건 양호한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 발생하는 등 서울 전체의 상승 폭이 확대됐다.
강북 14개구는 평균 0.16% 상승했다. 성동구(0.32%)는 성수·금호‧행당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마포구(0.25%)는 아현‧성산·공덕동 주요 단지 위주로, 광진구(0.24%)는 광장‧구의·자양동 역세권 및 학군지 위주로, 동대문구(0.21%)는 이문‧휘경‧장안동 위주로, 은평구(0.19%)는 불광·응암·신사동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강남 11개구는 평균 0.15% 올랐다. 송파구(0.31%)는 잠실·방이·문정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동구(0.25%)는 명일·암사‧고덕동 신축 위주로, 구로구(0.15%)는 신도림·개봉‧구로동 선호 단지 위주로, 강남구(0.15%)는 역삼·대치·개포동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인천은 지난주 0.03% 올랐으나 이번주 0.08% 올랐다. 미추홀구(-0.08%)는 주안·용현동 구축 위주로 하락중이나, 중구(1.02%)는 중산·운남동 대단지 위주로, 연수구(0.17%)는 정주여건 양호한 송도동 (준)신축과 동춘·청학동 주요단지 위주로, 남동구(0.07%)는 논현·서창·간석동 위주로 상승하며 인천 상승폭을 확대했다.
경기는 지난주 0.11% 올랐고 이번주는 0.16% 상승했다. 이천시(-0.18%)는 부발읍·대월면 위주로 하락 중이나, 하남시(0.57%)는 망월·감이동 신축 대단지 위주로, 안산 단원구(0.46%)는 원곡·초지동 주요 단지 위주로, 구리시(0.45%)는 인창·수택·교문동 위주로, 화성시(0.42%)는 교통 및 학군 양호한 반송·청계동 위주로, 성남 수정구(0.38%)는 창곡·신흥동 위주로 상승 거래 발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방 전세가격은 이번주 보합세를 나타냈다. 5대광역시 0.01% 하락, 세종 0.21% 상승, 8개도 0.00% 보합세다. 5대광역시는 지난주 0.02% 내렸으며 이번주는 0.01% 떨어졌다. 대전은 지난주 0.09% 올랐고 이번주에도 0.09% 상승했다. 동구(0.10%)는 대·성남동 (준)신축 위주로, 유성구(0.10%)는 정주여건 양호한 도안신도시 및 송강동 위주로, 서구(0.09%)는 관저·복수동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세가 지속됐다. 광주는 지난주 0.02% 떨어졌고 이번주는 0.01% 내렸다. 남구(-0.07%)는 주월·방림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북구(-0.01%)는 문흥·동림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서구(0.02%)는 쌍촌·풍암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하락폭을 축소했다. 세종시는 지난주 0.13% 올랐으며 이번주는 0.21% 상승했다. 정주 여건 양호한 고운·아름·다정동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폭이 확대됐다.
8개도는 지난주 0.01% 하락했으나 이번주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강원은 지난주 0.01% 하락했으나 이번주는 0.04% 상승세로 전환했다. 춘천시(0.09%)는 후평·퇴계동 위주로, 원주시(0.08%)는 반곡·무실동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세로 돌아섰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