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원, 8월 셋째주 가격 동향 조사 결과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나란히 0.07% 상승

[서울 =뉴스프리존]박영수 기자=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이 지속 상승하는 가운데 지방도 68주 만에 상승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한국부동산원)
(자료=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원장 손태락)이 2023년 8월 3주(8월 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7% 상승, 전세가격은 0.07% 상승을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07% 올라 지난주(0.04%) 대비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08%→0.12%) 및 서울(0.09%→0.14%)은 상승폭 확대, 지방(0.00%→0.02%)은 상승 전환됐다. (5대광역시(0.00%→0.02%), 세종(0.10%→0.08%), 8개도(0.00%→0.02%))

시도별로는 서울(0.14%), 경기(0.12%), 세종(0.08%), 경북(0.08%), 인천(0.06%) 등은 상승, 전남(-0.06%), 제주(-0.05%), 부산(-0.03%), 전북(-0.01%), 광주(-0.01%)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94→106개) 및 보합 지역(10→19개)은 증가, 하락 지역(72→51개)은 감소했다.

수도권은 0.12% 올랐다. 서울 0.14% 상승, 인천 0.06% 상승, 경기 0.12%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급매물 소진 후 관망세를 보이는 구축 대비 신축 및 정주 여건 양호한 선호단지, 정비사업 기대감 높은 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 발생한 후 매물가격 추가 상승 이어가며 상승세가 지속됐다. 강북 14개구는 평균 0.11% 올랐다. 성동구(0.25%)는 행당·금호동 대단지 위주로, 용산구(0.21%)는 한남·이촌동 주요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20%)는 장안‧답십리동 위주로, 마포구(0.20%)는 염리‧대흥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강북 전체 상승폭 확대 추세다.

강남 11개구는 평균 0.16% 올랐다. 송파구(0.37%)는 잠실·신천동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0.20%)는 압구정·대치동 주요단지 위주로, 양천구(0.18%)는 목·신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동구(0.18%)는 고덕·암사동 위주로 상승하는 등 강남 전체 상승폭 확대 중이다.

인천은 지난주 0.08%에서 이번주 0.06% 오르는 데 그쳤다. 미추홀구(-0.08%)는 신규 입주 예정물량 영향으로 용현‧주안동 위주로, 동구(-0.02%)는 만석‧송림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중구(0.36%)는 영종도 내 대규모 단지 밀집지역인 운서‧중산동 위주로, 연수구(0.14%)는 송도‧연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남동구(0.13%)는 간석‧만수동 위주로 상승하며 인천 전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주 0.08%에서 이번주에는 0.12% 올랐다. 동두천시(-0.29%)는 생연‧지행동 위주로, 광주시(-0.11%)는 쌍령동‧초월읍 위주로, 김포시(-0.10%)는 운양‧마산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46%)는 별양‧중앙동 주요 단지 위주로, 화성시(0.44%)는 목‧오산동‧남양읍 위주로, 하남시(0.42%)는 정주 여건 양호한 망월‧풍산동 위주로, 성남 수정구(0.37%)는 수진‧창곡동 위주로 상승하며 경기 전체의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방은 0.02% 올랐다. 5대광역시 0.02% 상승, 세종 0.08% 상승, 8개도 0.02% 상승했다.

대구는 지난주 0.05% 올랐고 이번주 0.06% 상승했다. 달성군(0.16%)은 정주 여건 양호한 화원·유가읍 위주로, 달서구(0.08%)는 이곡·용산동 중저가 위주로, 중구(0.05%)는 남산·대신동 (준)신축 위주로 상승했다.

대전은 지난주 0.03% 상승했고 이번주는 0.06% 올랐다. 서구(0.08%)는 내·탄방동 대단지 위주로, 유성구(0.08%)는 주거환경 양호한 상대·지족동 위주로, 중구(0.05%)는 중촌·태평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세종은 지난주 0.10% 올랐으나 이번주는 0.08% 오르는 데 그쳤다. 보람·나성·다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북은 지난주 0.06% 올랐고 이번주는 0.0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주시(0.20%)는 복룡·신봉동 위주로, 김천시(0.17%)는 신음·부곡·율곡동 위주로 상승했다.

(자료=한국부동산원)
(자료=한국부동산원)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7% 올라 지난주(0.04%)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0%→0.15%) 및 서울(0.11%→0.15%)은 상승폭 확대, 지방(-0.01%→0.00%)은 보합 전환됐다. (5대광역시(-0.02%→-0.01%), 세종(0.13%→0.21%), 8개도(-0.01%→0.00%))

시도별로는 세종(0.21%), 경기(0.16%), 서울(0.15%), 대전(0.09%), 인천(0.08%) 등은 상승, 경남(0.00%)은 보합, 부산(-0.05%), 전북(-0.03%), 제주(-0.02%), 전남(-0.02%), 대구(-0.02%) 등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89→102개) 및 보합 지역(13→16개)은 증가, 하락 지역(74→58개)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평균 0.15% 상승했다. 서울 0.15% 상승, 인천 0.08% 상승, 경기 0.16% 상승했다. 서울은 지난주 0.11% 올랐고 이번주는 0.15% 상승했다. 여름 휴가철이 마무리되고 가을 이사철 이전 임차 문의 늘어나며 지역 내 역세권 및 학군지 등 정주 여건 양호한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 발생하는 등 서울 전체의 상승 폭이 확대됐다.

강북 14개구는 평균 0.16% 상승했다. 성동구(0.32%)는 성수·금호‧행당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마포구(0.25%)는 아현‧성산·공덕동 주요 단지 위주로, 광진구(0.24%)는 광장‧구의·자양동 역세권 및 학군지 위주로, 동대문구(0.21%)는 이문‧휘경‧장안동 위주로, 은평구(0.19%)는 불광·응암·신사동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강남 11개구는 평균 0.15% 올랐다. 송파구(0.31%)는 잠실·방이·문정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동구(0.25%)는 명일·암사‧고덕동 신축 위주로, 구로구(0.15%)는 신도림·개봉‧구로동 선호 단지 위주로, 강남구(0.15%)는 역삼·대치·개포동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인천은 지난주 0.03% 올랐으나 이번주 0.08% 올랐다. 미추홀구(-0.08%)는 주안·용현동 구축 위주로 하락중이나, 중구(1.02%)는 중산·운남동 대단지 위주로, 연수구(0.17%)는 정주여건 양호한 송도동 (준)신축과 동춘·청학동 주요단지 위주로, 남동구(0.07%)는 논현·서창·간석동 위주로 상승하며 인천 상승폭을 확대했다.

경기는 지난주 0.11% 올랐고 이번주는 0.16% 상승했다. 이천시(-0.18%)는 부발읍·대월면 위주로 하락 중이나, 하남시(0.57%)는 망월·감이동 신축 대단지 위주로, 안산 단원구(0.46%)는 원곡·초지동 주요 단지 위주로, 구리시(0.45%)는 인창·수택·교문동 위주로, 화성시(0.42%)는 교통 및 학군 양호한 반송·청계동 위주로, 성남 수정구(0.38%)는 창곡·신흥동 위주로 상승 거래 발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방 전세가격은 이번주 보합세를 나타냈다. 5대광역시 0.01% 하락, 세종 0.21% 상승, 8개도 0.00% 보합세다. 5대광역시는 지난주 0.02% 내렸으며 이번주는 0.01% 떨어졌다. 대전은 지난주 0.09% 올랐고 이번주에도 0.09% 상승했다. 동구(0.10%)는 대·성남동 (준)신축 위주로, 유성구(0.10%)는 정주여건 양호한 도안신도시 및 송강동 위주로, 서구(0.09%)는 관저·복수동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세가 지속됐다. 광주는 지난주 0.02% 떨어졌고 이번주는 0.01% 내렸다. 남구(-0.07%)는 주월·방림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북구(-0.01%)는 문흥·동림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서구(0.02%)는 쌍촌·풍암동 주요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하락폭을 축소했다. 세종시는 지난주 0.13% 올랐으며 이번주는 0.21% 상승했다. 정주 여건 양호한 고운·아름·다정동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폭이 확대됐다.

8개도는 지난주 0.01% 하락했으나 이번주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강원은 지난주 0.01% 하락했으나 이번주는 0.04% 상승세로 전환했다. 춘천시(0.09%)는 후평·퇴계동 위주로, 원주시(0.08%)는 반곡·무실동 위주로 상승하며 상승세로 돌아섰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