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현장 언제 사고 터질지 모르는 위기 상황"
"강대강 대치에서 대화로 국면 전환하라" 호소
[서울=뉴스프리존]방현옥 기자= 보건의료노동조합은 26일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이탈로 진료 공백이 심각해지고 있는데 대해 정부와 의사, 병원이 모두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의료 기사 등 의사를 제외한 의료계 종사자로 구성된 보건의료 노동조합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이렇게 호소했다.

노조는 “의사들의 진료 거부로 환자들이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고 생명을 위협받고 있으며 언제 어떤 의료사고가 터질지 모르는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이라며 "조속한 진료 정상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사들의 진료거부 집단행동 중단 ▲정부의 대화를 통한 해법 제시 ▲진료 정상화를 위한 병원의 설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또 전공의가 제시한 '7대 요구'에 대한 해법도 제시했다.
우선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와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구체적 법적 대책 제시’ 그리고 ‘열악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등 3가지 요구는 정부가 발표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담겨 있어 대화로 풀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과학적인 의사 수급 추계를 위한 기구 설치’의 필요성도 "공감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업무개시명령 전면 철회’와 ‘전공의에 대한 부당한 명령 철회와 사과’ 등 2가지 요구 역시 전공의의 업무 복귀와 대화 재개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의대 증원 계획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전면 백지화’ 요구에 대해서는 의대 증원 방식과 필수 및 지역 의료 살리기에 대한 세부 방안 논의로 풀자고 제안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 거부로 수술이 50% 이하로 줄어들고 병상 가동률이 50% 이하로 떨어지는 등 의료대란이 벌어지고 있다”며 “국민생명을 살리기 위해 '강 대 강' 대치 국면에 종지부를 찍고 대화 국면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료 정상화를 위한 긴급 국민행동'으로 ▲중증·응급환자 위주의 정상진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경증환자와 비응급환자들 대형종합병원 이용 자제 ▲의료 현장을 지키며 헌신하는 의료진을 격려하고 응원하는 ‘덕분에’ 운동 ▲ 의사단체와 정부간 대화를 촉구하는 각계각층 시민사회단체들의 성명 발표와 의사단체 방문, 촛불행동 등을 제안했다.
최희선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은 “의사 집단 진료거부로 인해 위기경보가 ‘심각’으로 올라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의료 현장은 앞으로 1~2주 이상 버티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사 집단 진료거부의 피해자는 국민”이라며 “의사단체와 정부의 극한 대치로 인한 희생자가 없도록 대화로 문제를 풀어나가자”고 호소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