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현장 언제 사고 터질지 모르는 위기 상황"
"강대강 대치에서 대화로 국면 전환하라" 호소

[서울=뉴스프리존]방현옥 기자= 보건의료노동조합은 26일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이탈로 진료 공백이 심각해지고 있는데 대해 정부와 의사, 병원이 모두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의료 기사 등 의사를 제외한 의료계 종사자로 구성된 보건의료 노동조합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이렇게 호소했다. 

보건의료노조가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 보건의료노조 제공)
보건의료노조가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 보건의료노조 제공)

노조는 “의사들의 진료 거부로 환자들이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고 생명을 위협받고 있으며 언제 어떤 의료사고가 터질지 모르는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이라며 "조속한 진료 정상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사들의 진료거부 집단행동 중단 ▲정부의 대화를 통한 해법 제시 ▲진료 정상화를 위한 병원의 설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또 전공의가 제시한 '7대 요구'에 대한 해법도 제시했다.  

우선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와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구체적 법적 대책 제시’ 그리고 ‘열악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등 3가지 요구는 정부가 발표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담겨 있어 대화로 풀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과학적인 의사 수급 추계를 위한 기구 설치’의 필요성도 "공감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업무개시명령 전면 철회’와 ‘전공의에 대한 부당한 명령 철회와 사과’ 등 2가지 요구 역시 전공의의 업무 복귀와 대화 재개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의대 증원 계획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전면 백지화’ 요구에 대해서는 의대 증원 방식과 필수 및 지역 의료 살리기에 대한 세부 방안 논의로 풀자고 제안했다.     

보건의료노조의 기자회견 현장 모습 (사진= 보건의료노조 제공)
보건의료노조의 기자회견 현장 모습 (사진= 보건의료노조 제공)

보건의료노조는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 거부로 수술이 50% 이하로 줄어들고 병상 가동률이 50% 이하로 떨어지는 등 의료대란이 벌어지고 있다”며 “국민생명을 살리기 위해 '강 대 강' 대치 국면에 종지부를 찍고 대화 국면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료 정상화를 위한 긴급 국민행동'으로 ▲중증·응급환자 위주의 정상진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경증환자와 비응급환자들 대형종합병원 이용 자제 ▲의료 현장을 지키며 헌신하는 의료진을 격려하고 응원하는 ‘덕분에’ 운동 ▲ 의사단체와 정부간 대화를 촉구하는 각계각층 시민사회단체들의 성명 발표와 의사단체 방문, 촛불행동 등을 제안했다. 

최희선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은 “의사 집단 진료거부로 인해 위기경보가 ‘심각’으로 올라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의료 현장은 앞으로 1~2주 이상 버티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사 집단 진료거부의 피해자는 국민”이라며 “의사단체와 정부의 극한 대치로 인한 희생자가 없도록 대화로 문제를 풀어나가자”고 호소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