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불가(佛家)에서는 천도 재(薦度齎)를 지냅니다. 천도 재란 죽은 사람의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해 치르는 불가 의식으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이 49 재이고, 그 밖에도 100일 재 등이 있습니다.
사람이 죽으면 7일 째 되는 날부터 49일 되는 날까지 매 7일 마다, 그리고 100일 째와 1년 째, 2년 째 되는 날 모두 합하여 10번 명부시왕(冥府十王)으로 부터, 한 번 씩 심판을 받는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도 49 재를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명부시왕 중 지하의 왕으로 알려진 염라대왕이 심판하는 날이기 때문이지요.
천도 재를 지내는 이유는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고, 좋은 곳으로 보내기 위해, 가족이나 지인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죽은 사람과의 인연을 정리하기 위해, 죽은 사람이 살아있을 때 지은 죄를 씻어주고, 공덕(功德) 쌓게 하려면 천도 재는 불가 교도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많이 지내는 의식입니다.
그리고 종교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지인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마음을 치유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돌아가신 영혼(靈魂)을 영가(靈駕)라고 부릅니다. 영가의 ‘가(駕)’는 짐을 지는 ‘멍에’를 뜻합니다. 업(業)의 멍에를 짊어졌기 때문에 영가(靈駕)라 부르지요.
불교에서는 전생이나 현생 내생을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삼세(三世)라고 합니다. 이 삼세를 통하여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삼계(三界)로 돌고 도는 것을 윤회(輪廻)라고 부릅니다.
우리는 태아교육(胎兒敎育), 육아교육(育兒敎育), 유아교육(幼兒敎育), 유치원 교육, 학교교육(學校敎育) 등의 교육을 받습니다. 마찬가지로 사람이 죽어도 영혼 교육, 영가 교육 등의 사후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이것을 불가에서 천도(薦度) 라고 하는 것이지요.
천도 재(薦度齎)의 ‘재(齎)’는 제사(祭祀)의 제(祭)가 아닙니다. ‘재(齎)’ 자는 가져오다, 가져가다, 보내다, 가지다, 지니다 등의 여러 뜻이 있습니다. 이렇게 천도(薦度)는 부처님의 말씀을 통하여 천상으로, 극락으로 천거 한다는 뜻입니다. 육신이 없는 의식(意識)의 덩어리, 쉽게 말해서 영혼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그래서 천도 재를 통하여 영혼, 영가의 의식을 정화(淨化)를, 자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무명(無明)의 의식(意識)이 부처님의 광명으로 의식이 정화되는 것입니다. 기억도 오래가면 잊어버리는 것과 같이, 영혼이라는 의식도 훈습(熏習)에 의한 업력(業力) 때문에 악도(惡道)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천상에서 금방 떨어지기 쉽습니다.
그러니까 부처님 말씀을 매일 반복해서 읽고 외우며 훈습(熏習)이 되게 끔 하는 것입니다. 흙탕물도 거르고 거르면 맑아지듯이, 좋은 습관을 꾸준히 계속해야 합니다. 천도는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해 법회, 독경, 시식, 불공 등을 베풀어, 죽은 영혼이 극락정토나 천상에 태어나도록 기원하는 의식입니다.
천도의 결과는 기원하는 바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천도를 통해 죽은 영혼이 고통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고, 극락정토나 천상에 태어나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의식을 진행하는 사람의 능력과 정성, 그리고 죽은 영혼의 업보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지요.
원불교에서도 천도 재를 지냅니다. 원불교에서도 죽음의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합니다. 이를 교의 적으로 접근해 죽음에 초연 할 수 있도록 천도 재와 관련되는 특별 의식과 더불어 영혼을 보내는 방법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룹니다.
원불교의 천도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의 방향에서 접근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생전 천도의 방법과 사후 천도의 방법입니다. 생전 천도는 자신 천도이고, 사후 천도는 타인 천도입니다. 그러나 주로 사후 천도에 집중하지요.
소태산(少太山) 부처님께서 사람이 죽으면 49일 동안 중음(中陰)에 어려있다가 업연(業緣)을 따라 몸을 받게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정산(鼎山) 종사께서는 “천도는 영가가 ‘이고득락(離苦得樂)’케 하며, ‘지악수선(止惡修善)’케 하며, ‘전미개오(轉迷開悟)’케 하는 것이니, 일심이 청정하여 천도 할 것 없는 데까지 천도 함이 참다운 천도가 되느니라” 라고 하셨지요.
원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일원상(一圓相)입니다. 그래서 천도의 원리는 무엇보다 원불교 신앙의 대상인 《일원상 진리》에서 모색하는 것이 근본적 접근입니다. 따라서 원불교의 천도 원리는 일원상의 원리, 영가의 위로 정화, 인과 원리, 무명 극복의 원리, 정법 인연의 원리가 바탕입니다.
소태산 부처님은 사람이 죽으면 육신에서 영혼이 떨어져 나가는 순간이 가장 무섭다며, 최후 일념으로 영가 천도에 정성을 다하라고 하셨습니다.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도록 해탈과 영생의 구원을 위해 천도가 필요함을 설파 하셨지요.
원불교 천도 의례의 특성은 천도재의 혁신과 간소화, 생전 · 사후 천도의 병행, 인도 수생(人道受生)의 강조 됩니다. 즉 원불교 천도재는 영혼을 깨우쳐 애착(愛着) · 탐착(貪着) · 원착(怨着) 등, 모든 착심을 여의고, 그 업보대로 사람의 몸을 받도록 인도해 주는 것입니다.
원불교의 천도는 인간의 죽음을 구원의 길로 인도하는 것이며, 49 재를 통해 온전한 천도의 길로 인도한다는 점에서 천도의 의의가 있습니다. 이렇게 천도는 중요한 것입니다. 우리 모두 천도 재에 관심을 가져 보면 어떨까요!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