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경찰서 교통관리계장 이동훈 경감

[경남=뉴스프리존]이태헌 기자=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국가를 위해 헌신하고 봉사하신 호국영령들의 업적과 혼을 기리는 기간이다.

특히 태극기와 무궁화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상징물로 더 더욱 그러하다.

거창경찰서 교통관리계장 경감 이동훈
거창경찰서 교통관리계장 경감 이동훈

국가 없으면 국민도 없고 주권도 없다. 나라를 위해 몸 바친 순국선열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하고 오늘을 사는 이 시대가 있는 것이다. 지난 모진 세월 동안 얼마나 많은 고초와 역경을 겪었는지 우리는 한번쯤 그 의미를 되새겨봐야 한다

대한민국의 국화는 무궁화다. 꽃말은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 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7월에서 10월까지 피는 무궁화는 궁핍한 생활없이 풍족하고 행복하게 오래 살자고 하는 우리 민족의 바람이 담겨져 있어 무궁화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고 한다.

국민학교 시절(現. 초등학교) 전국 어느 교정 화단에 무궁화가 있어 매우 흔하게 볼 수 있었고 어디를 가던 쉽게 접할 수 있었지만 요즘은 식물원이나 특수한 지역에서만 볼 수 있어 아쉬운 점이 많다.

나라의 국화가 사라지고 있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국민들 가슴속에서 잊혀져 가고 있다는 것이 너무 안타깝다.

특히, 외국출장이나 교포생활하는 교민들의 무궁화와 태극기에 대한 감정은 더할 나위 없이 가슴 뭉클함으로 다가올 것이다.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이다. 모양이나 뜻이 오묘하고 깊은 의미를 담고 있어 세계 어느 나라 국기보다 특별하다.

태극기는 흰바탕에 태극모양, 건(乾), 곤(坤), 감(坎), 리(離)로 이루어져 음양화합을 상징한다. 1882년(고종19년) 조미수호통상 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됐으며, 이후 1883년 3월6일 조선의 정식 국기로 제정됐다.

그리고 1948년 7월1일 대한민국 정식 국기로 제정되었다.

무궁화와 태극기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갈등과 혼란을 해소시키고 결집시키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 올림픽과 같은 스포츠 경기나 국가적인 행사 또는 타국생활시 애국심을 더 빛나게 한다.

태극기 사랑이 하늘을 찌를 만큼 애정이 깊은 사람이 있다. 바로 거창군 치안을 맡고 있는 경찰서장이다. 거창에 부임한지 4개월이 지났다. 경찰관 표창이나 민간인 감사장 수여시 직접 태극기 뱃지를 달아주고 있다.

태극기 뱃지를 사비로 구입해 두었다가 좋은 일이 있을때 직원이나 일반인의 가슴에 애국심을 심어준다.

“거창경찰의 신바람을 거창군민의 행복으로”라는 슬로건으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고 태극기 바람도 일으키고 있다.

경남경찰청에서 거창경찰서로 부임하여 신바람 나는 직장 분위기 조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태극기에 대한 사랑도 남 다르다. 태극기 뱃지를 달고 있는 나 역시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라는 생각으로 공무생활을 하고 있다.

작고 세세한 부분이지만 새삼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다. 태극기 뱃지는 작지만 큰 울림으로 이 시대를 살고있는 기성세대와 MZ세대들이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조국에 대한 생각을 잠시나마 한번쯤 생각해 봤으면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