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소비자물가 전달보다 0.5% 상승
2023년 8월이후 최고치
관세로 향후 더 오를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각)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설하고 있다.(사진=UPI,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각)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설하고 있다.(사진=UPI, 연합뉴스)

미국의 물가가 올들어 들썩이면서 트럼프 신정부의 관세 무기화 전략에 부담을 주고 있다. 12일(현지시각) 블룸버드 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5%가 올라 2023년 8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식품과 에너지 분야를 뺀 지표인 '핵심 CPI'도 전월대비 0.4% 올라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핵심 CPI'는 계절 요인이나 국제 유가, 기후 변화 등에 따라 단기적으로 변하는 분야를 뺀 지표여서 물가 흐름을 더 잘 보여주기 때문에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가 중요하게 참고한다. 

그동안 연준에 금리인하를 촉구해온 트럼프 대통령은 1월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해 전임 바이든 정부 탓을 하면서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하지만 이날 미 하원에 출석한 제롬 파월 연준 이사회 의장은 물가 상승률 수준이 연준의 목표엔 근접하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면서 금리 인하에 부정적 입장을 비쳤다.

미국의 1월 CPI 상승은 식료품 가격이 주도했으며 이는 주로 치명적인 조류 독감으로 계란 가격이 15% 이상 오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로스앤젤레스의 대형 산불 여파로 호텔 숙박비나 중고차 비용도 올랐다. 

미국 물가는 많은 기업들이 제품 가격이나 수수료를 연초에 인상하기 때문에 1월에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미국 물가 추이는 2월의 데이터를 더 살펴봐야 하지만 연준으로선 금리를 인하하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는 분위기라는 평가가 나온다. 

사라 하우스 미 웰스파고 은행 수석 경제학자는 "에너지나 식품, 핵심 물가 요소 등에서 오름세를 볼 수 있다"면서 "연준이 금리 동결하는 기간이 더 길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미국 물가는 앞으로 트럼프 정부의 보편 관세 정책 확대에 따라 상승 압력을 더욱 받게 될 전망이다. 미국 물가가 많이 오르면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