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 관세의 역풍…중국 자동차 산업, 세계 공급망 흔들리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강화 조치가 중국 자동차 부품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백악관은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중국에 부과된 누적 관세율이 145%에 달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는 90일 유예 조치를 시행했으나, 중국에 대해서는 고율 관세를 유지하기로 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11일 보도를 통해 이 같은 관세 정책이 중국 자동차 산업, 특히 부품업체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전했다.
SCMP는 "중국의 완성차 업체들의 대미 수출은 소규모에 불과하지만, 연간 1천억위안(약 20조원)에 이르는 전기차 배터리, 라이다 센서, 주행 제어 시스템 등을 수출하는 부품 업체들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세관 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은 미국으로 998억위안(약 19조7천억원) 규모의 자동차 부품을 수출했으며, 이는 전체 부품 수출의 15%를 차지하는 수치다.
반면 같은 해 미국으로 수출된 중국산 완성차는 11만6천대 수준으로, 중국의 전체 글로벌 출하량의 1.8%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중국 부품업체들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번 관세 조치의 여파가 클 것으로 보고 있다.
SNE리서치는 CATL과 고션 등 중국의 상위 6개 전기차 배터리 업체가 세계 시장의 3분의 2를 점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사이트앤드인포컨설팅도 중국 공급업체들이 전 세계 자동차 부품 수요의 절반가량을 공급한다고 분석했다.
중국 국제지능차량엔지니어링협회(IIVEA)의 데이비드 장 사무총장은 "대대적인 관세 부과는 배터리 생산업체와 같은 중국 공급망 업체의 성장에 파괴적"이라며 "자동차 조립업체는 판매와 성장을 미국 시장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총알을 피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무역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결국 중국 완성차 산업 전반에도 악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상당수의 자동차를 동남아시아로 수출하고 있는데, 이 지역 국가들의 경제가 미국의 관세 충격으로 흔들릴 경우 수출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지난해 필리핀은 중국산 전기차 13만대를, 태국은 12만6천대를 수입하며 각각 3위와 5위의 수입국으로 기록됐다.
중국승용차협회(CPCA)의 추이둥수 사무총장은 "지난해 25%였던 중국의 자동차 수출 증가율이 올해는 10%에 그칠 수 있다"며 "중국 자동차 판매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예상보다 더 심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