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이웃 돕겠다는데 행정 문턱이 더 높았다”

전주 지역 동사무소가 시민들의 김장·쌀 나눔 제안을 적극적으로 연계하지 않았다는 제보가 잇따르면서, 기초 행정이 민간의 자발적 복지 참여를 충분히 뒷받침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본지에 제보를 전달한 전주 시민들에 따르면, 삼천동 일대 동사무소에 각각 김장 나눔 봉사와 쌀 기부 의사를 밝히며 절차 안내를 요청했으나, 기대와 달리 적극적인 상담을 받기 어려웠다고 주장했다.
한 제보자는 “김장김치를 만들어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하고 싶다고 문의했지만 ‘이미 끝났다’, ‘우리가 도와드릴 부분이 없다’는 식의 답변을 들었다”며 “구체적인 지원 방법을 알고 싶었지만 분위기 자체가 ‘굳이 안 해도 된다’는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제보자 역시 “쌀을 기부하고 싶다고 했는데 ‘기관을 따로 알아보라’, ‘요즘은 단체를 통해서만 한다’는 안내를 받았다”고 전했다.
제보자들은 동사무소가 지역 복지 현황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기관인 만큼, 최소한 ▲연계 가능한 복지기관 ▲기부 절차 ▲현장에서 필요한 물품 종류 ▲전달 방식 등에 대한 기본 안내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행정에 모든 것을 맡기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도움이 되는지 함께 찾아보는 태도가 필요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복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 같은 사례가 일회적일 가능성만으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방 재정 여건이 악화되고 복지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민간의 자발적 기부·봉사를 행정이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중개 행정’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일선 창구에서 소극적이거나 ‘다른 기관을 알아보라’는 식의 대응이 반복될 경우, 시민 참여 의지가 약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최근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으로 지역 내 취약계층 지원 수요가 커지는 시기인 만큼, 민간의 나눔 활동을 행정이 적극적으로 뒷받침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제보 시민들은 “김장김치나 쌀이 필요했던 가정이 분명 있었을 텐데, 조금만 더 적극적으로 안내했더라면 더 많은 도움이 전달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시민들의 기부 의지를 존중하는 행정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본지는 삼천동 동사무소에 사실관계와 관련 지침을 확인하는 질의를 보낼 예정이며, 답변이 오는 대로 후속 보도를 이어갈 계획이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