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7일 자 중앙일보에 백성호 기자의 ‘마음 챙기기 궁 궁 통통’에 강원용 목사가 호통친 기도 「기독교 기도, 그런 게 아니다.」 기사(記事)가 눈길을 끌어 함께 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공유(公有)합니다.

기도(祈禱)란 무엇인가요? 신이나 절대적 존재에게 바라는 바가 이루어지기를 빎. 또는 그 의식을 이름입니다. 그에 따라 사람이 출세하여 세상을 살아가기로 하면 자력(自力)과 타력(他力)이 같이 필요하지요. 그래서 자력은 타력의 근본이 되고 타력은 자력의 근본이 되는 것입니다.

【〶 궁궁통 1.

강원용(1917~2006) 목사는 1988년 무렵, 노태우 대통령으로부터 총리 직을 제안 받았습니다. 그러나 강 목사는 그 제안을 거절했습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 조언을 요구하면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예부터 민심은 천심이라고 여겼다. 국민의 마음은 곧 하늘의 마음이다.” 이어서 강 목사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국민 유형을 세 가지로 나누었지요.

“첫째는 권력 가라면 무조건 따르는 사람이다. 둘째는 사사건건 반대하고 불평하는 사람들이다. 셋째는 잘하는 건 칭찬하고, 잘못하는 건 비판하는 국민이다.” 강 목사는 셋째 유형의 국민을 ‘호민(護民)’이라고 불렀습니다. “셋째 유형이 제대로 된 국민이다. 이들의 지지를 받으면 못 할 일이 없다. 대신 그들이 등을 돌리면 별 짓을 다 해도 안 된다.”

〶 궁궁통 2.

강원용 목사는 우리 사회의 존경 받는 지도자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통령에게 조언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때마다 강 목사는 되풀이해서 이 조언을 해주었습니다.

“그 말에 그들(역대 대통령)은 감명을 받았다. 그렇지만 실천하진 않았다. 결국 호민 계층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자기들끼리 소위 코드 맞는 사람들 끼리 만 정치를 했다. 거기에 무슨 존경이 가며, 국민이 따르겠는가.”

강 목사가 이런 이야기를 한 것은 16년 전이었습니다. 김수환 추기경을 비롯한 시민 사회 대표들이 2003년 2월 26일 서울 신라 호텔에서 반전·반핵과 평화를 위한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16년 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은 그다지 없어 보입니다.

그 뒤에도 정권은 여러 번 바뀌었지만, 호민을 외면하고 코드를 앞세운 끼리끼리 정치를 하는 모습은 여전합니다. 그러니 강 목사의 염려와 해법이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형국입니다.

〶 궁궁통 3.

강 목사는 사회를 향해서도, 신앙을 향해서도 쓴소리를 마다치 않았습니다. 심지어 우리나라 기독교 신자들의 기도에 대해서도 뼈아픈 지적을 했습니다. “기독교 신자들이 기도에 대해서 도무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 어떤 때 보면 무당 샤머니즘처럼, 복을 달라고 빈다. 기독교의 기도는 그런 게 아니다.”

지금이나 그때나 쉽지 않은 일입니다. 기독교 목사가 기독교 내부를 향해서 뼈아픈 소리를 쏟아내는 일 말입니다. 그런데 강 목사는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거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교단 내의 자기 입장보다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훨씬 더 중시했기 때문입니다.

강 목사는 프랑스 시골 마을 ‘테제’에 있는 초 교파 수도 공동체 ‘테제 마을’에서 경험한 기도를 언급했습니다. “거기에서는 기도가 ‘오~주여, 내게 오시옵소서’다. 그런 거다. 그러니까 지금 오시는 걸, 받아들이고 그에 대해 응답을 하는 거다. 그게 나와 하나님 사이의 기도다. 요란스럽게 소리 지르고 징징 울고 하는 건 아니다.”

강 목사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기도에 대해 말했습니다. “우리의 기도는 이래야 하지 않나. 어떻게 하면 내가 저 사람들을 위해서 살 수 있습니까. 내가 저 불쌍한 사람들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이렇게 기도해야 하지 않겠나.”

〶 궁궁통 4.

강원용 목사는 과학과 종교를 이분 법적으로 가르지 않습니다. 오히려 과학적 세계관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취합니다. 과학의 울타리가 신의 울타리 안에 있음을 안다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입니다.

‘이 무한대의 우주에서 신은 과연 어디에 있는 걸까.’ 이 물음에 강 목사는 답했습니다. 신이 인간사의 일거수일투족을 일일이 지켜보며 간섭하는 방식이 아닐지도 모른다며 말입니다.

“어떤 노인(신)이 한 별에 앉아서 ‘이놈이 저것 하고 있구나’ ‘누구는 밥을 먹고 있구나’ 하는 식으로 볼 수는 없다. 탁자 위의 꽃을 보면 어떤 에너지가 있다. 거기서 생명이 나오고, 거기서 아름다움이 나온다. 근원적인 하나의 사랑도 그런 에너지다. 그 속에 생명이 있고, 진리가 있고, 빛이 있다.”】

어떻습니까? 기도는 이렇게 올려야 하지 않을까요? 기도는 즐거운 일 당할 때는 감사를 올리고, 괴로운 일을 당할 때는 사죄를 올리며, 결정하기 어려운 일을 당할 때는 결정될 심고 와 혹은 설명 기도를 올려야 하지 않을까요!

단기 4356년, 불기 2567년, 서기 2023년, 원긴 108년 8월 11일

덕산 김덕권(길호) 합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