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욕(忍辱)이 무엇인가요? 욕된 일을 당해도 참고, 억울해도 변명하지 않는다는 불가(佛家의 수행 법이지요. 옛말에 ‘참을 인(忍), 자(字)가 셋이면 살인도 면한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육바라밀(六波羅蜜)의 하나로 아무리 곤욕(困辱)을 당하여도 마음을 움직이지 않고 참고 견디는 수행(修行)을 말.. 블러그 갈무리
육바라밀(六波羅蜜)의 하나로 아무리 곤욕(困辱)을 당하여도 마음을 움직이지 않고 참고 견디는 수행(修行)을 말.. 블러그 갈무리

이 속담의 어원은 명확히 알려진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인내심과 참을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일본의 선불교(禪佛敎)를 중흥시킨 ‘백은(白隱, 1685~1768) 선사(禪師)’의 일화에 <인욕이 생명을 살린다>는 예화가 있습니다.

백은 선사가 ‘송음사’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백은 선사가 기거하던 절 입구 마을의 두부 장수 집 딸이 이웃 사내와 정을 통하여 아기를 갖게 되었지요. 그 사실을 안 딸의 부모는 크게 분노하여 몽둥이를 들고 심하게 추궁했습니다.

“감히 처녀의 몸으로 아이를 가지다니, 어느 놈의 씨를 가졌느냐?” 살기 등등 한 부모님의 추궁에 딸은 사실대로 말할 수가 없었습니다. 사실대로 말하면 청년도 죽고, 자신도 죽고, 뱃속 아기도 죽기 때문이지요.

몹시 화가 난 처녀의 부모는 아이의 아버지가 누구인지 대라고 딸을 심하게 추궁하였습니다. 딸은 얼떨결에, 윗 절의 ‘백은 스님’이라고 대답했습니다. 평소 두부 장수는 백은 선사를 존경했고, 아니 모든 사람이 존경했습니다.

부모는 평소 존경했던 스님을 죽일 수는 없었지요. 그대신 스님을 향한 존경의 마음은 사라지고, 분노의 마음이 백은 스님에게 옮겨갔습니다. 그리고 몇 달 뒤, 딸이 사내 아기를 낳자 부모는 아기를 안고 스님을 찾아와 말했습니다.

“당신의 잘못으로 생겨난 당신의 아들이니, 당신이 키우시오.” 그러자 스님은 ‘좋다 싫다’ 라는 말 한마디 없이, 아기를 안고 집집을 찾아다니며 젖을 얻어 먹였고, 똥 오줌을 받아주며, 목욕도 시키며 정성껏 키웠습니다.

백은 선사는 온갖 욕설과 비난을 받으며 젖 동냥과 음식 구걸로 아기를 애지 중지 잘 키웠습니다. 아기의 진짜 아버지는 대장간에서 일하는 젊은 청년이었습니다. 두부 장수 딸과 청년은 결혼하게 되었고, 더는 참을 수 없게 된 처녀는 마침내 부모에게 이실직고(以實直告)하였지요.

친부인 대장간 청년, 그리고 처녀의 부모들은 처녀를 데리고 백은 선사에게 달려가 전후 사정을 고하고 용서를 빌며 아기를 돌려 달라고 간청했습니다. 그러자 백은 선사는 순순히 아기를 내어 주며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아, 그런가?” 백은 선사는 자신의 아이라고 인정하지도 않고 부정하지도 않았지요. 단 한마디의 변명이나 꾸중도 없이 단지 ‘아, 그런가?’ 라고 말했을 뿐이었습니다. 백은 선사는 자신이 결백하였지만, 구차하게 자신을 변명하거나 방어하지 않았습니다.

어떻습니까? 이 백은 선사의 인욕(忍辱)이 세 사람을 살린 것입니다. 그 후로 그의 명성은 일본 전체에 퍼지게 되었습니다. 그럼 인욕수행을 잘하려면 어찌하면 좋을까요? 인욕수행은 인내와 겸손을 강화하며, 어려움을 참는데, 중점을 둔 종교적이거나 철학적인 실천입니다. 우리가 인욕수행을 잘하려면, 몇 가지 고려해야 점이 있습니다.

첫째, 자기 통제와 인내력 강화하는 것입니다.

불필요한 감정이나 분노를 통제하고, 어려운 상황에도 차분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지요. 그리고 명상이나 심리적인 수련을 통해 내면의 평화를 찾아가는 것입니다.

둘째, 타인의 관점 이해하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감정과 상황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타인의 처지에서 생각하고, 그들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합니다.

셋째, 자기 성장과 겸손입니다.

자기 성장에 중점을 두고, 자신의 약점을 받아들이며, 개선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과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지요.

넷째, 실천과 훈련입니다.

인욕수행은 실천을 통해 강화되므로, 일상생활에서 지속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면 각종 도전에 대해 자주 실천하면서 참을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다섯째, 스스로에 대한 이해입니다.

자기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 욕망, 목표 등을 명확히 이해하면 인욕수행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여섯째, 도움을 청하고 주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자신도 남들에게 도움을 주는 태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호 협력과 이해를 통해 인욕수행이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일곱째, 관용과 사랑의 실천입니다.

타인의 부족과 실수를 이해하고, 용서하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노력합니다. 사랑과 관용을 통해 인간관계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지요.

이렇게 인욕수행도 이 일곱 가지 항목을 가지고 훈련하면, 우리도 인욕도인(忍辱道人)이 되어 세세생생 영광을 누릴 수 있지 않을까요!

檀紀 4357년, 불기 2568년, 서기 2024년, 圓紀 109년 1월 30일

덕산 김덕권(길호) 합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