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결과 보고 미진하면 내가 요청하겠다"
"특검은 수사 결과 봐주기나 부실할 때 하는 것"
김건희 여사 특검법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 고수
[서울=뉴스프리존] 권오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9일 국회를 통과한 채상병 특검법과 관련해 반대 입장을 밝혔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수사 결과를 보고 국민이 납득하지 못한다면 내가 먼저 특검을 하자고 하겠다"면서 "일단은 사법 절차를 지켜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취임 2주년을 맞아 21개월만에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또 채해병 사고와 관련해 관계자들을 질책했느냐는 질문에 "국방장관에게 구조 작업도 아니고 시신을 수습하는 일인데 왜 이렇게 무리하게 진행해서 인명 사고를 나게 했느냐고 질책했다"고 답했다.
그러나 채해병 사건의 핵심인 'VIP 격노설'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VIP 격노설'은 사고에 대한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에 대해 이종섭 국방장관으로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이런 일로 사단장을 문책하면 앞으로 누가 사단장을 하겠느냐"고 발언했다는 내용이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과 군인권센터 등은 대통령의 이런 발언 이후 책임자의 범위를 축소하라는 등의 수사 외압이 시작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또 수사 외압 의혹 관련자로 공수처에 고발된 이종섭 전 국방장관을 호주 대사로 임명하는 과정에서 출국금지된 상황을 몰랐다고 말했다. 그는 "출국금지는 보안 사항이라 유출되면 형사처벌을 받는다"면서 대통령실이 당시 알 수 없었다고 했다.
또 "공수처에 고발된 정부 고위 관리들이 많다"면서 "고발만으로 인사를 하지 않는다면 공식 인사를 하기가 대단히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 특검법에 대해서도 "검찰이나 경찰 등의 수사가 봐주기나 부실 수사 의혹이 있을 때 특검을 하는 게 맞다"면서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가 연루된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과 관련해 "지난 정부에서 나를 타켓으로 해서 수사를 했다"면서 "(그 수사 결과가) 봐주기나 부실수사였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사를) 할만큼 해 놓고 또 하자는 것은 특검의 제도적 취지에 맞지 않는 정치적 행위가 아니냐, 진상을 가리기 위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는 생각을 여전히 갖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벌어진 이른바 '윤한 갈등'과 관련해 당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해 사퇴를 요구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통령 비서실장과 원내대표, 한 위원장이 점심 먹는 자리에서 얘기가 나온 것 같은데,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면서 "바로 풀었다"고 답했다.
한 전 비대위원장과 앞으로도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는 "20년 넘게 교분을 맺어온 한 위원장을 언제든 만날 것"이라며 식사 제안을 한 위원장이 거절한 것과 관련해 "본인도 많이 지치고 재충전이 필요한 것 같아서 부담을 주지 않고 기다리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언제든 만나고 식사도 하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채상병 특검 거부 말아달라" 생존 해병들 공개편지
- 홍철호 "윤 대통령, 채상병 특검법 수용 어려울 것"
- 이재명 "尹대통령 '범인 아니니' 채상병 특검법 거부 안할 것"
- 대통령 겨눌 '채상병 특검', 성사될까
- 윤 대통령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하겠다"
- 박찬대 "尹회견, 국민 생명 지킬 의지 없다는 사실 재차 확인"
- 尹 회견, 與 "진솔한 입장 밝혀" 野 "고집불통 대통령"
- 박찬대 "尹 집권 2년 20년 같았다…무능함의 끝판왕"
- "공수처 출범 이후 3년간 사표 쓴 검사·수사관 30명"
- 임성근 "수중 수색 지시 안했다"
- 디올백 사건 최재영 목사 "김 여사의 권력 사유화가 본질"
- 임성근 전 해병1사단장 밤샘 조사후 귀가
- 박찬대 "尹, '채해병 특검법' 거부 명분 없어…공포해야"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