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거래소 기업가치 제고 공시 이행 평가 기준 수립 예상
미편입 종목의 주가 하락에서도 기회를 찾을 수 있어

[서울=뉴스프리존]위아람 기자= KB증권(사장 김성현, 이홍구)은 지난 26일 발간한 리서치 보고서를 통해 ‘KRX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미편입 금융주의 주주환원 강화 가능성과 투자 기회에 주목했다.

(사진=KB증권)
(사진=KB증권)

한국거래소는 지난 24일 ‘KRX 코리아 밸류업 지수’ 편입 종목을 발표했다. 이 중 기업가치 제고 계획 ‘예고’는 공시했다.

그러나 구체적 ‘계획’은 아직 공시하지 않아 지수에 편입되지 못한 종목은 21개로 파악된다.

이 가운데 2025년 예상 ROE(자기자본이익율) 7.5%, 배당수익률 4% 이상인 기업은 7개 종목으로 이 중 5개가 금융주다. KB증권은 이들이 편입을 위해 시장 기대를 뛰어넘는 주주환원 의지를 경쟁적으로 드러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KB증권은 ‘밸류업 미편입 금융주, 주가 하락은 기회’ 리서치 보고서를 통해 밸류업 지수 편입 종목을 바탕으로 거래소의 밸류업 방향을 분석했다. 우선 거래소는 편입종목 선정에 주주환원은 ‘여부’만 고려하고 ROE에 대해서는 ‘상위’라는 기준을 적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자사주에 대해서는 소각만 인정하여 진정한 주주환원 수단으로써의 자사주 역할을 강조했다. PBR(주가순자산비율)이 낮은 종목을 배제시켜 기업들에게 지수 편입을 원한다면 주가 관리에도 힘써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보인다. 코스닥 종목 편입 비중이 예상보다 높다는 점은 개인투자자를 고려해서 최근 소외된 코스닥의 수급 활성화를 함께 유도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된다.

거래소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기업을 특례로 편입했다.  2026년부터는 공시 이행 기업을 중심으로 지수를 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향후 기업가치 제고를 공시하는 기업의 수가 늘어나면 공시 여부만으로 평가하는 방식에 공정성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향후 거래소가 기업가치 제고 공시 이행을 평가하는 기준도 수립해 정기 변경에 반영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는 의견이다.

KB증권은 투자 전략 차원에서 밸류업 의지가 있는 미편입 종목과 정기변경에 주목했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 예고는 공시했으나 구체적인 계획을 공시하지 않아 지수에 편입되지 못한 밸류업 의지가 있는 미편입 종목은 21개로 파악된다. 이들이 편입을 위해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주주환원 의지를 경쟁적으로 드러낼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미편입 종목의 주가 하락에서도 기회를 찾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본부장은 “밸류업 지수 편입 여부도 의미 있지만 일본 밸류업 정책 사례를 감안하면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주주환원율 확대를 통한 주주가치 제고”라며 “특히 금번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 편입이 안된 금융주의 경우 향후 편입을 위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주주환원 의지를 보일 가능성이 높을 전망이다. 따라서 이번에 미편입된 금융주의 단기 주가 하락은 비중확대 기회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