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위, 0.72→0.74 예측
국회 예산정책처도 동일수치 전망
7ㆍ8월 신생아 2만명 웃돈 영향

[서울=뉴스프리존]이정우 기자=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올해 합계출산율이 지난해보다 오른 0.74명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말까지 이 흐름이 유지되면 합계출산율은 2015년 이후 9년 만에 반등하게 된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합계출산율은 한 여성이 가임기간(15~49세) 동안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저출산위의 이 같은 예측은 주형환 부위원장이 25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연 'K-ESG 얼라이언스 10차 회의'에서 한 강연을 통해 알려졌다.

26일 <연합뉴스>는 주 부위원장이 강연에서 "최근의 혼인과 출생아 수 증가 추세가 유지된다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작년 0.72명보다 높은 0.74명 내외로 전망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를 통해 추산한 올해 출산율 예측치 0.68명이나 지난해 출산율 0.72명보다 높은 수치다.

지난 14일 엄마와 함께 서울국제유아교육전을 찾은 한 아기가 그림책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14일 엄마와 함께 서울국제유아교육전을 찾은 한 아기가 그림책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출산율은 2015년 1.24명을 기록한 뒤 계속 떨어졌다. 

국회 예산정책처도 10월 펴낸 보고서에서 "올해 합계출산율은 2015년 이후 9년 만에 반등이 예상된다"며 저출산위와 같은 예측치를 내놓은 바 있다.

예산정책처는 "최근 지연된 출산의 회복 등 영향으로 올해는 전년(0.72명) 대비 0.2명 상승해 2028년까지 완만히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럼에도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초과하며 내국인 인구는 지속해서 감소할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두 기관이 올해 출산율 반등을 예측한 원인은 최근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과 8월 두 달 연속으로 출생아 수가 2만 명을 웃돌았고, 8월 혼인 건수도 1만7천527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0% 늘어났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