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설연휴 사이 27일 또는 31일
'역동경제로드맵' 공휴일 내수 활성화
기재부 "검토 중...결정된 바 없다"

[서울=뉴스프리존]이정우 기자= 정부가 주말과 설연휴 사이 평일인 1월27일 월요일과 31일 금요일 중 하루를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국군의날(10월 1일)과 개천절(3일) 등 징검다리 연휴를 앞두고 9월29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에서 시민들이 탑승수속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국군의날(10월 1일)과 개천절(3일) 등 징검다리 연휴를 앞두고 9월29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에서 시민들이 탑승수속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7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는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두고 부처 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 25∼26일 주말에 이어 설 연휴인 28∼30일까지 모두 엿새를 잇달아 쉴 수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확정·발표한 '역동경제 로드맵'에서 내수 활성화를 위해 공휴일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대체공휴일을 확대하거나 월요일 등 주말과 이어진 특정 요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요일제 공휴일'을 도입해 매년 안정적인 휴일 수를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여당 일각에서도 설 연휴 전후인 27일 또는 31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최근 소비 심리는 계엄사태로 빚어진 탄핵정국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짙어져 꽁꽁 얼어붙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11월에 비해 12.3포인트(p)나 폭락했다. 이는 팬데믹 때인 2020년 3월(-18.3p) 이후 최대 낙폭이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서도 시민들이 애도의 시간을 보내면서 신년회·송년회를 취소하거나 미루면서 차분하게 새해를 맞이하는 분위기다.

기재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는 현재 '2025년 설 명절대책' 마련을 위해 다양한 과제를 검토 중이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