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명 사망, 10만명 대피

[서울=뉴스프리존]임형섭 객원기자= 미국 서부 로스앤젤레스(LA) 해변가에서 시작된 산불이 돌풍을 타고 확산되는 와중에 다른 산불까지 겹치면서 8일(현지시각) 현재 최소 5명이 숨지고 1천 채 이상의 건물이 불에 탔다고 로이터 통신과 CNN 등이 보도했다.

8일(현지시각) LA 이튼 지역에서 주택에 산불이 옮겨 붙어 타오르고 있다.(사진=UPI, 연합뉴스)
8일(현지시각) LA 이튼 지역에서 주택에 산불이 옮겨 붙어 타오르고 있다.(사진=UPI, 연합뉴스)

산불은 전날(7일) 오전 LA 해안가 부촌 지역인 퍼시픽 팰리세이즈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최근 LA 일대에서 불고 있는 시속 112킬로미터의 국지성 돌풍 ‘샌타 애나’로 인해 통제불능 수준으로 확산됐다.

더욱이 강풍과 화재로 인한 연기로 한동안 항공 소방작업이 방해받았다가 재개되기도 됐다.

여기에 더해 7일 밤 캘리포니아주 이튼과 허스트에 이어 이날 아침 우들리에서도 각각 산불이 나면서 LA와 주변 지역에서 모두 5건의 대형 산불이 동시에 발생했다.

서쪽에서는 팰리세이즈 산불이 산타모니카와 말리부 사이의 언덕에서 6406 헥타아르와 1000개의 구조물을 삼켜버렸고 동쪽의 이튼 산불로 4289 헥타아르가 불에 타고 최소 5명이 사망했다.

또 우들리 산불은 12 헥타아르를, 허스트 산불이 204 헥타아르를, 리디아 산불은 8일 시작돼 현재 32 헥타아르를 각각 불태웠으며 현재 진화율은 0%라고 소방당국이 밝혔다.

펠리세이즈 지역의 화재를 바라보고 있는 경찰관(사진=UPI, 연합뉴스)
펠리세이즈 지역의 화재를 바라보고 있는 경찰관(사진=UPI, 연합뉴스)

간밤에 어둠과 강풍의 여파로 진화작업이 진행되지 못한 가운데 LA 카운티 전역에 걸쳐 10만명이상에 대피령이 내려졌고 건물들이 불에 탔다고 앤서니 마론 LA카운티 소방서장이 밝혔다.

마론 서장은 “1-2건의 대형 산불에는 대비가 돼 있었지만 4건에는 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면서 인력 부족을 호소했다. 

물도 부족해 산불을 잡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당국에 따르면 산불을 끄는데 쓰느라 퍼시픽 팰리세이즈의 일부 소화전이 고갈되기도 했다.

멋진 바다 전망을 자랑하는 언덕에 자리한 퍼시픽 팰리세이즈는 2023년 말 기준 일반 주택 가격이 370만 달러에 달하는 미국에서 가장 비싼 동네 중 하나로 제이미 리 커티스, 맨디 무어, 마크 해밀 등 많은 영화, 텔레비전, 음악 스타들이 살고 있는 곳이다.

이번 산불은 남부 캘리포니아에 취약한 시기에 발생했는데 10월 이후로 큰 비가 내리지 않은데다가 강력한 돌풍인 ‘샌타 애나’가 불어와 부채질했다.

과학자들은 전통적인 산불 시기를 훌쩍 넘긴 시기에 발생한 이번 화재는 지구 온도가 앞으로도 수십 년동안 계속 상승하는데 따라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는 최신 기상 이상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8일(현지시각) 펠리세이즈 지역 화재 현장을 방문한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사진=AP, 연합뉴스)
8일(현지시각) 펠리세이즈 지역 화재 현장을 방문한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사진=AP, 연합뉴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LA를 방문중에 이날 뉴섬 지사와 통화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진화에 필요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제공했다”며 “행정부는 대응 지원에 필요한 모든 것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어 “퍼시픽 팰리세이즈 주민들과 LA 주변 지역 주민들에게 경계심을 갖고 지역 당국자들의 말에 귀를 기울일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LA시 소방서장인 크리스틴 크롤리는 “오늘도 도시와 카운티를 강타하는 강풍으로 인해 아직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고 말했다. 미국 민간기상예보 회사인 애큐웨더(AccuWeather)는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520억 달러에서 570억달러로 추산했다.

한편 오스카상을 주관하는 영화예술 과학아카데미는 이번 산불로 오스카상 후보 발표를 오는 19일로 이틀 연기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