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경기도·화성, 모빌리티 생태계 협약
첫 PBV 전용 '화성 이보 플랜트' 짓기로
휠체어용 차량·수요응답교통 운영 예정

기아가 6일 경기도·화성시와 'PBV 기반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으로 기아는 2조2천억원을 투입해 세계 첫 PBV 전용 공장 '화성 이보 플랜트'를 차질 없이 건설하고 경기도와 화성시는 관련 인허가와 인프라 개선을 지원하게 된다.
PBV는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Platform Beyond Vehicle)'이란 비전을 실현하고자 물류 배송, 승객 운송, 레저 등 특정 목적이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제작한 차량을 말한다.
이날 오토랜드 화성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기아 송호성 사장과 최준영 국내생산담당 사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명근 화성특례시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에 필요한 국가공모사업과 신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지역 교통 편의를 위한 PBV 서비스도 함께 개발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PBV 기반의 휠체어용 차량(WAV), 수요응답교통(DRT) 모델을 경기도와 화성시에서 운영하는 방안이 검토될 것이라고 기아는 설명했다.
이 밖에도 양방향 충·방전(V2G) 인프라를 조성하는 등 지속 가능한 에너지 환경 구축에도 힘을 합치기로 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이번 전략적 협업은 맞춤형 PBV 모빌리티 설루션을 개발하고 확대하는 기틀이 될 것"이라며 "기아의 혁신적인 기술력을 토대로 경기도와 화성특례시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 중심지로 거듭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트럼프 2.0 시대의 여러 가지 통상압력 속에서 우리 국내 투자유치를 한 것은 경기도나 화성시로서도 아주 기쁜 일이고, 기아도 큰 결단을 내렸다"며 "대한민국 경제와 미래 첨단 산업의 중심인 신뢰의 땅 경기도에서 기업의 새로운 도전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기업과 지자체가 협업해 화성시가 미래 차 산업의 핵심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 지원을 펼치고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산업 혁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