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개입 필요... 예금 수요 ‘역무브’ 발생 가능성 있어

저축은행들이 어려운 지경에 처해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저축은행들이 어려운 지경에 처해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이 줄줄이 떨어지고 있어 퇴직연금을 운용하지 못하는 회사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4일 한국기업평가는 바로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하향했다.

또 JT친애저축은행의 신용등급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낮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3대 신용평가사는 신용등급을 부여하고 있는 30개 저축은행 중 지난해 17곳의 신용등급을 하향하거나 등급 전망을 낮췄다.

이처럼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이 떨어지고 있는 것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경기침체로 인한 적자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이 ‘BB’ 투기 등급 이하로 떨어질 경우 퇴직연금을 운용할 수 없게 돼 저축은행의 영업 실적에 곧바로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아직 관세 쇼크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제대로 경제 상황에 반영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이 하향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경제의 펀더멘탈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축은행은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금융기관으로 이곳에서도 대출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은 대부업체로 빠지는 경우가 흔하다. 

앞으로 예금자보호한도가 1억원으로 늘어나면 저축은행으로의 예금 무브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지만 그 전에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해 뱅크런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아직 등급조정은 이뤄지지 않았으나 지난해 6월과 9월 등급 전망이 부정적으로 내려간 예가람 저축은행이나 고려 저축은행 등 다수의 저축은행이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직면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1조원 규모의 ‘PF정상화 펀드’를 조성하며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에 나서고 있지만 부동산 시장 침체로 부실화된 PF사업장을 사들일 주체가 없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다.

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이 BB까지 떨어지면 퇴직연금을 운용할 수 없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이 BB까지 떨어지면 퇴직연금을 운용할 수 없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진퇴양난의 상황에서 저축은행은 신규 퇴직연금 자금을 통해 영업의 숨통의 틔우고 있는데 이 마저도 막힐 경우 정말 심각한 상황으로 비화될 수 있다.

최근 저축은행의 예금금리가 연 2%대로 하락하면서 시중은행과도 큰 차이가 없다. 이로 인해 예금수요가 저축은행으로 몰릴 것인지 여부도 불확실한 상태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이날 정기예금 12개월 평균금리는 2.96%로 시중은행의 연 2.15%~2.68%에 비해 큰 차이가 나지 않고 있다.

국내 저축은행 79곳 중 34곳이 연체율 10%를 넘어서는 등 위험 신호도 커지고 있다.

이는 전년 14곳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로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위험이 목전까지 다가와 있다는 평이 많다.

부실채권 비율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상상인(26.90%), 솔브레인(26.20%) 등 심각한 수준에 도달한 저축은행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B 등급으로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신규 퇴직연금 자금을 유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퇴직연금 상품도 만기 후 재예치가 불가능해진다.

이미 벼랑 끝에 서 있는 저축은행 업계를 발로 차 벼랑 아래로 떨어뜨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다.

저축은행중앙회 차원에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면 빠르게 금융당국이 개입해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할 때다. 더 이상 한국 저축은행업계의 부실화에 대해 손놓고 봐줄 수가 없는 상황이 됐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