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 수 대폭 줄여, AI 중심 재편 가속

SK텔레콤은 통신(MNO)과 AI 양대 분야의 사내회사(CIC) 체제를 중심으로 조직개편 및 임원 인사를 단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인사는 고객 신뢰 회복과 인공지능(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에 중점을 둔 조치다.
올 초 터진 해킹 사태 여파로 임원 수를 대폭 줄인 조직 개편과 인사를 단행했다.
김석원 MNO CIC 프로덕트·브랜드본부 브랜드 담당 등 11명이 신규 임원으로 승진했다.
다만 퇴직 임원 수가 지난해보다 크게 늘면서 SKT 임원 수는 3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알려진다.
통신 사내회사(MNO CIC)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본원적 경쟁력 강화에 방점을 두고 관련 기능과 역량 통합에 나설 방침이다.
마케팅을 상품·서비스와 영업 중심으로 재편해 통신 사업 경쟁력을 높이고 엔터프라이즈(B2B) 사업은 기술 지원 조직을 전진 배치해 상품과 설루션 경쟁력 강화를 모색한다.
네트워크는 AI·디지털 전환 실행력을 높이는 조직으로 구성하고 통신 분야 AI·디지털 전환을 가속한다.
AI 사내회사(AI CIC)는 정석근·유경상 공동 CIC장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실질적 사업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핵심 사업과 기술 중심의 역량 결집에 나설 방침이다.
사업 영역은 대표적 AI 서비스 에이닷 사업을 중심으로 기업대고객(B2C) 분야와 AI 클라우드, 피지컬 AI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대기업(B2B) 분야, 메시징 사업과 인증 및 결제 사업을 담당하는 디지털플랫폼사업, 데이터센터 사업을 총괄하는 AI DC 등으로 재편한다.
SKT는 통합보안센터의 조직과 인력을 확충해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대외협력(CR)과 대외홍보(PR) 기능을 통합한 커뮤니케이션센터(Comm센터)를 신설했다.
또 주요 경영진의 의사결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제너럴 카운슬(GC) 자리를 만들었다.
정재헌 SKT 최고경영자는 "CIC 체제는 MNO와 AI 각 사업 특성에 맞춘 최적화된 업무수행 방식과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기 위한 선택"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MNO 사업의 고객 신뢰 회복과 AI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