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장토론, 정쟁 시작이 아닌 정쟁을 끝이 될 수 있도록 여야 힘 모으자"

[서울=뉴스프리존] 김정현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28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것과 관련, 국민의 불안과 위험해소를 위한 여야간 공개토론을 공식 제안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원전오염수 해양투기저지 총괄대책위 상임위원장 및 위원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김정현 기자)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후쿠시마원전오염수 해양투기저지 총괄대책위 상임위원장 및 위원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김정현 기자)

민주당 후쿠시마원전오염수해양투기저지총괄대책위원회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들의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오염수 방류의 안전한 처리를 위한 공개토론을 국민의힘에 제안한다"면서 "끝장토론이 정쟁의 시작이 아닌 정쟁을 끝이 될 수 있도록 여야가 힘을 모으자"고 밝혔다.

우원식 총괄대책위 상임위원장은 "총괄대책위는 대한민국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특히 2차 행동 기간에는 국제기구 등 국제사회 여론을 환기시켜 나가는데 큰 역할을 하겠다"며 "동시에 21대 국회 마지막 정기국회에서도 국회의 역할을 기반으로 원전 오염수 문제를 다뤄나가겠다"고 말했다.

우 상임위원장은 "정기국회를 통해서 입법과 예산, 국정감사를 통해서 오염수 투기 문제의 현실적인 대응 방안을 찾아나가겠다"며 "오늘 그래서 여야 공개토론을 제안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환 의원은 "국민들이 객관적 사실은 정확하게 이해하고 판단해야 한다. 반대는 거의 90%에 육박하는데, 그 국민들을 모두 괴담에 선동된 사람들로 취급하는 것은 정말로 옳지 않다"면서 "국민의 의사를 대변하는 정부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런 여러 가지 쟁점에 대해서 그야말로 전문가들과 함께 허심탄회하게 끝장 토론을 해야 될 여러가지 쟁점"이라고 피력했다.

대책위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원전 사고로 생긴 오염수를 바다에 투기하는 것은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일"이라며 "아무리 과학적 검증을 거쳤다고 하더라도 불확실성에 기인한 불안감은 해소하기 쉽지 않다. 다핵종제거설비(ALPS)가 걸러주지 못하는 방사성 물질에 대한 안전성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본이 오염수를 방류한지 나흘째이지만 대통령은 침묵하고 있다"며 "한덕수 국무총리는 '정부를 믿고 과학을 믿어달라'고만 할 뿐 국민들의 걱정과 많은 과학자들의 우려는 괴담이나 선동으로 일축하기에 바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설득도 설명도 없이 국민 10명 중 8명을 ‘괴담세력’으로 모는 건 민주주의라 부를 수 없다"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윤석열 정부 전까지는 후쿠시마 오염수 대응이 지금과 같은 정쟁의 소재가 아니었다"며 "정권이 바뀌자 국민의힘 입장이 바뀐 것이지, 원전오염수가 갑자기 안전해진 것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는 여야도, 어느 한 정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라며 "국민의 안전의 문제이며 나아가 인류 공동의 자산인 바다와 미래세대를 지키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오염수 방류에 대해 엇갈리는 평가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마실 수 있을 정도로 안전하다는 전문가가 있는 반면 그 위험성을 우려하는 많은 전문가도 있다"라며 "하지만 정부 입장을 같이 한다고 ‘과학’이라고 부르고, 정부 입장과 다른 건 ‘괴담’이라고 폄하해서는 안된다"고 일갈했다.

민주당 후쿠시마원전오염수해양투기저지총괄대책위는 공개토론은 제안하면서 "양당의 국회의원들과 양당이 추천한 각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개토론을 통해 ▲안전성 평가 ▲정부대응 평가 ▲피해 지원책 등 구체적인 주제와 방식은 협의해서 정하되, 국민 앞에 숨김없이 투명하게 공개하고 철저히 토론할 것을 기대한다"며 "여당도 '우리바다지키기 검증 TF'등 관련 당기구가 있으니 형식에 얽매이지 말고 검토해 국민의힘 차원의 답변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대책위는 "서로를 향한 선동, 괴담이라는 소모적 공방은 국익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국민의 불안과 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응책 마련에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