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노선 수서-동탄 구간 3월
파주운정-서울역 구간 연내
정부 "수도권 30분대 출퇴근 시대 열겠다"

[서울=뉴스프리존] 김석 기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의 A노선 중 수서에서 동탄 구간이 3월부터 개통된다. 또 파주 운정지구에서 서울역 구간은 연내에 개통될 예정이다. GTX의 A노선은 경기도 파주시 운정 신도시의 운정역과 화성시 동탄2신도시 동탄역을 잇는다. 2028년 전 구간이 개통된다.

25일 의정부시청에서 열린 민생토론회 모습(사진=연합뉴스)
25일 의정부시청에서 열린 민생토론회 모습(사진=연합뉴스)

정부는 25일 경기도 의정부 시청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속도·주거환경·공간의 3개 분야에서 교통 혁신을 이뤄 수도권 출퇴근 시간 30분대로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속도 

'속도 혁신'은 수도권 GTX 사업을 본격화하겠다는 내용이다. GTX A노선의 수서~동탄 구간을 예정대로 올해 3월에, 파주 운정∼서울역 구간을 연내에 개통하겠다고 밝혔다. A노선 전 구간은 2028년에 개통할 계획이다. A노선이 전면 개통되면 파주 운정역에서 서울역까지 걸리는 시간이 기존 최대 70분에서 20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올해 초에 착공하는 GTX B노선(인천대 입구∼마석)은 2030년에, C노선(덕정∼수원)은 2028년에 각각 개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인천에서 서울역까지는 80분대에서 30분으로, 덕정에서 삼성역까지는 75분에서 29분으로 각각 줄여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를 열겠다는 방침이다. 

GTX A·B·C 노선의 연장도 추진한다. A노선은 동탄에서 평택까지, B노선은 경춘선을 활용해 마석에서 춘천까지, C노선은 덕정에서 동두천, 수원에서 아산까지 더 잇는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GTX-D·E·F 노선을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새롭게 반영, 1단계와 2단계로 나눠 구간별 개통을 추진하기로 했다. 1단계 노선의 경우에는 현 정부 임기 내에 예비타당성 조사와 동시에 통과를 추진하겠다고 정부는 밝혔다. 

지방 대도시권에는 GTX와 같은 수준의 광역급행철도인 x-TX를 도입한다. 우선 대전/세종/ 충북 권역에서 'CTX'(가칭)로 불리는 광역급행철도 사업을 추진한다. 또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남 등 다른 권역의 경우 지자체와 협의해 급행철도 사업 추진이 가능한 노선을 적극 발굴하기로 했다.

김포골드라인 이용객들(사진=연합뉴스)
김포골드라인 이용객들(사진=연합뉴스)

주거환경

'주거환경 혁신'은 교통이 불편한 신도시를 중심으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한다는 내용이다 . 수도권 주요 권역별로 광역버스 확대 운행, 버스 전용차로 도입 등을 추진한다. 특히 악명 높은 '김포골드라인'의 혼잡도를 완화하는 대책을 우선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

해당 라인에 추가 차량 투입, 출근 시간대 광역버스 증편, 출발지·종점 다양화, 특정 시간대 올림픽대로 버스전용차로 단계적 도입 등을 즉시 추진하겠다고 정부는 밝혔다. .

이와 함께 2층 전기버스와 광역 DRT(수요응답형버스), 좌석 예약제 확대, 급행버스 도입 등으로 수도권 교통 불편을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공간

'공간 혁신'은 철도와 도로를 지하화해 도시 공간을 재구조화한다는 내용이다. 철도 지하화는 지방자치단체가 제안한 사업 중 계획 완결성이 높은 구간을 연내에 선도사업으로 선정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도로 정체가 심각한 수도권 제1순환도로(서창∼김포), 경부고속도로(용인∼서울), 경인고속도로(인천∼서울)는 2026년부터 지하화 사업에 단계적으로 들어간다.

정부는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에도 나서 올해 8월 아라뱃길 상공에서 첫 실증 비행을 한 뒤 내년에 한강과 탄천으로 운영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또 자율주행 서비스는 심야 시간과 교통 취약지역에 도입한 뒤 전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교통 대책에 민간 재원을 포함해 134조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