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병원들 응급실 및 병동 축소
수술 연기 등 환자 피해 가중
병원들 간호사에 무급 휴직 권고
[서울=뉴스프리존] 최정은 기자=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의 이탈이 보름째 이어지고 있는데 따라 수술 지연 등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병원들은 응급실과 병동을 축소 운영하고 있으며 간호사들은 환자 감소에 따라 무급 휴직을 강요받고 있다.

정부는 6일부터 근무지 이탈이 확인된 전공의들에 대해 의사 면허 정지 3개월의 행정처분에 대해 사전 통지서를 발송했다. 의료법에 의거한 업무개시명령을 따르지 않은데 대한 제재로 통지 대상 전공의들의 소명을 듣는 절차를 거쳐 처분이 이뤄진다.
보건복지부가 전공의 집단행동에 대한 교사 및 방조 혐의로 고발한 의사협회(의협) 전현직 간부에 대한 경찰 소환조사도 진행됐다. 주수호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홍보위원장이 6일 첫 번째로 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에 출두해 조사를 받았다.
그는 조사를 받기 전 기자들에게 "나올 게 아무 것도 없다"면서 "(집단행동을) 교사한 적이 없기 때문에 교사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정부의 행정처분과 사법처리를 통한 압박에도 전공의 복귀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주요 병원들은 병동을 합치거나 폐쇄하고 응급실도 축소 운영하고 있다.
서울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한다는 한 간호사는 6일 인터넷 커뮤니티 '에펨코리아'에 올린 글에서 "응급실 베드 20개 돌리던 것을 5개만 돌리고 있다"면서 "전공의가 없어 교수들이 로테이션으로 근무중"이고 "환자가 와도 해당 증상 진료 의사가 없으면 그냥 돌아간다"고 전했다.
또 병동도 이전엔 80 내지 90%를 채웠으나 현재는 35 내지 40%만 채운다면서 "환자가 없으니 자연스레 병동 2개를 폐쇄했다"고 전했다.
환자 피해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 집계를 보면 피해신고는 388건이 접수됐고 이 가운데 290건이 수술 지연으로 인한 피해였다.
병원들이 축소 운영하면서 불똥은 간호사들에게도 튀고 있다. 대한간호협회는 병원으로부터 무급휴가를 강요받고 있다는 회원들이 신고가 전국에서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