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존]김 석 기자=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4일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중장)을 소환했다.

공수처 수사4부(이대환 부장검사)는 이날 'VIP 격노설'을 전한 인물로 지목된 김 사령관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오전 9시42분께 공수처에 출석한 김 사령관은 '박정훈 대령에게 VIP(윤석열 대통령)가 격노했다는 말을 전한 적 있느냐', '이첩 보류 지시가 대통령실 뜻이라는 말 들은 적 없느냐' 등의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해병대 최고 지휘관인 김 사령관은 지난해 7∼8월 채상병 순직 사건을 초동 조사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윗선의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채 상병 특검법이 국회를 통과한 가운데 수사 외압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는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도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외압 의혹을 폭로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은 김 사령관이 자신에게 "VIP가 격노했다"는 말을 했다고 주장했는데, 김 사령관은 이를 부인해 왔다.

김 사령관은 윗선의 연락을 받고, 임성근 전 사단장 등 8명을 혐의자로 특정한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경찰에 넘기지 못하도록 압력을 행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공수처는 김 사령관에게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 대통령 격노 발언을 전한 적 있는지 캐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가 준비한 질문지가 모두 2백 쪽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도 채 상병 수사를 지휘하는 차정현 수사기획관이 직접 맡고 있다.

공수처로서도 김 사령관을 윗선 수사로 이어갈 핵심 고리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채 상병 사건 처리 과정에서 김 사령관이 국방부 장·차관과 수차례 연락한 통화 내역이 확인됐다.

해병대 수사단 기록이 경찰로 넘어가던 날에는 당시 임종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2차장과 두 차례 통화한 사실도 드러났다.

김 사령관은 점심과 저녁 모두 청사 안에서 먹고, 변호인 도움 없이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 관계자는 조사가 밤늦게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공수처는 김 사령관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이종섭 전 장관과 신범철 전 차관 등을 불러 윗선 개입 의혹을 풀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당시 박 전 단장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간부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하려 했는데, 이를 보류시키고 혐의자를 2명으로 줄이는 과정에서 대통령실 등 윗선이 개입했다는 게 의혹의 골자다.

박 전 단장은 당초 지난해 7월 31일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언론 브리핑을 하고 이틀 뒤 관련 자료를 경북경찰청에 이첩하려 했지만, 김 사령관이 이첩 시기를 해외 출장 중인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귀국한 이후로 보류하려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장관 지시로 브리핑이 취소된 후 김 사령관이 "국방부에서 경찰 인계 서류에 혐의자와 혐의 내용을 빼라고 한다"면서 "오전 대통령실에서 VIP 주재 회의에서 1사단 수사결과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VIP가 격노하면서 (이종섭 전)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됐다"고 말했다는 것이 박 전 단장 얘기다.

또 "정말 VIP가 맞느냐"고 묻는 말에 김 사령관이 고개를 끄덕였다는 게 박 전 단장 주장이다.

이 같은 대화가 이뤄진 날 김 사령관은 당시 박진희 국방부 장관 군사보좌관과 임기훈 국가안보실 비서관과 통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 소환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4일 오전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들어가고 있다.
공수처 소환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4일 오전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들어가고 있다.

김 사령관은 군검찰 조사 당시 이 같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박 전 단장이 항명 사건을 벗어나기 위해 혼자 지어내고 있는 얘기로 보인다"며 "VIP 언급 자체를 한 사실이 없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에 인계할 서류에 혐의자와 혐의 내용을 빼라고 했다는 부분에 대해서도 누군가에게 지침을 받거나 들은 사실이 없다는 게 김 사령관 입장이다.

이에 공수처는 김 사령관을 상대로 'VIP 격노' 발언의 진위, 이 전 장관 등 국방부 윗선으로부터 받은 지시 내용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는 이날 200여쪽 분량의 질문지를 준비했다.

김 사령관은 이 전 장관,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 등과 함께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로 꼽힌다.

지난해 8월 박 전 단장과 더불어민주당이 이 전 장관 등을 공수처에 고발했고, 공수처는 올해 1월 김 사령관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했다.

이후 확보한 자료 포렌식 작업을 거쳐 지난달 말부터 유 관리관, 박경훈 전 국방부 조사본부장 직무대리를 차례로 부르며 피의자 조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공수처는 김 사령관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한 후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 윗선으로 수사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