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방부 "북한군 우크라 가까이 이동"
전투병력은 합법적 공격대상 간주
바이든, 북한 파병 "매우 위험하다"
우크라군 "밤에 훈련, 대사관 직원 통역"

[서울=뉴스프리존]이정우 기자= 미국 국방부가 28일(현지시각)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일부가 우크라이나 가까이 이동했다며 이들이 전장에 투입된다면 합법적 공격 대상으로 간주된다고 밝혔다.

러시아군이 쿠르스크의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지역에서 우크라이나를 향해 곡사포를 발사하고 있다. 이 사진은 28일 러시아 국방부가 공개한 영상을 갈무리한 것이다. (사진=러시아 국방부 제공 AP 연합뉴스)
러시아군이 쿠르스크의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지역에서 우크라이나를 향해 곡사포를 발사하고 있다. 이 사진은 28일 러시아 국방부가 공개한 영상을 갈무리한 것이다. (사진=러시아 국방부 제공 AP 연합뉴스)

사브리나 싱 미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우리는 북한이 훈련을 위해 러시아 동부 지역에 군인 총 1만명 정도를 파견했으며, (그들이) 향후 수주간 우크라이나 가까이서 러시아 병력을 증원할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주 3천명으로 추정했던 북한군 파견 규모를 이번에 약 1만명 규모로 늘려잡았다.

싱 부대변인은 북한군 일부 병력이 우크라이나 전선 가깝게 이동한 사실을 확인한 뒤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이 이미 공개적으로 경고했다"며 "북한 군인이 전장에 투입된다면 전투병력으로서, 합법적 공격 대상으로 간주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군이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한 전투에 투입될 경우 우크라이나가 그들을 향해 미국 무기를 사용하는 데 있어 미국 정부는 새로운 제한을 두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그들(북한 군인)의 활용은 인도·태평양 안보에 심각한 함의를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군이 국가저항센터 홈페이지에 올린 파병 북한군 일러스트. 
우크라이나군이 국가저항센터 홈페이지에 올린 파병 북한군 일러스트. 

매슈 밀러 미국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러시아가 이들 북한군을 우크라이나 국경과 가까운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 병력을 상대로 한 전투 또는 군사작전 지원에 사용하려고 한다는 점을 갈수록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밀러 대변인은 31일(현지시각)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외교·국방장관 2+2 회담에서 북한의 러시아 파병 등 북러 관계 강화와 북한의 기타 도발적인 행동,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이 사안을 우려하고 있고, 중국도 두 이웃 국가인 러시아와 북한의 불안정한 행동에 대해 우려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기 위해 중국과 소통"했음을 밝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각) 델라웨어 뉴캐슬에서 대선 사전투표를 마치고 취재진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각) 델라웨어 뉴캐슬에서 대선 사전투표를 마치고 취재진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A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델라웨어주 뉴캐슬에서 대선 사전투표를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문제를 묻는 질문에 "매우 위험하다"고 답했다.

파병 북한군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있는 우크라이나군은 특수작전부대가 운영하는 국가저항센터(NRC) 홈페이지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온 3천명 넘는 용병이 현장에서 조직화를 시작했다"고 28일(현지시각) 밝혔다.

우크라이나군은 "김정은 정권의 군인들은 여러 훈련장에서 훈련받고 있으며 주로 밤에 투입된다. 공산주의 국가 대사관 직원들이 용병들의 통역과 참관을 위해 함께 훈련장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이들이 언제 전투에 투입될지, 훈련을 얼마나 더 할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군인들 위치는 알려져 있다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은 러시아군 감청자료 등을 토대로 북한군 러시아 파병 동향을 자국 매체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알리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