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급망 제재로 스카이디오 드론 제작 곤경
미 의회 중국 드론 DJI 사용금지 추진에 '보복'
글로벌 드론 시장 석권 중국 업체 입지 다지나
AIㆍ드론 군사기술 접목 미중 무한경쟁 확대

[서울=뉴스프리존]이정우 기자= 첨단 기술을 놓고 벌이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전쟁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공급되는 드론으로 번져 미국 드론 제조업체 ‘스카이디오’가 공급 차질을 빚고 있다. 

스카이디오의 최신 드론 X10의 비행 모습. (사진=스카이디오 홈페이지 갈무리)
스카이디오의 최신 드론 X10의 비행 모습. (사진=스카이디오 홈페이지 갈무리)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31일(현지시각) 미국 최대의 드론업체이자 우크라이나군에 드론을 납품해온 스카이디오(Skydio)가 중국 당국의 제재로 부품 공급을 받지 못해 제작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드론용 배터리를 만드는 일본 TDK의 자회사 '둥관파워앰프' 등 자국 내 스카이디오 납품업체를 찾아가 거래 중단을 압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사 아담 브라이 대표(CEO)는 지난주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을 만났고 백악관 고위 관리들에게도 도움을 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카이디오의 드론이 실전에 투입된 모습. (사진=스카이디오 홈페이지 갈무리)
스카이디오의 드론이 실전에 투입된 모습. (사진=스카이디오 홈페이지 갈무리)

브라이 CEO는 또 고객들에게 보낸 서신에 중국 정부의 제재에 대해 "미국의 주요 드론 회사를 제거하고 중국 드론 공급사에 대한 세계의 의존도를 심화하려는 시도"라며 "이번 조치는 중국 정부가 공급망을 무기로 삼아 우리를 뛰어넘고 자신들의 이익을 확대하고자 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고 적었다. 

미국 정부는 중국이 미국의 드론 공급망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보 수집용 드론 공급을 방해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샌마테오에 본사를 둔 스카이디오는 미군과 기업, 정부 기관에 드론을 공급한다. 정보 수집과 정찰 목적으로 1,000여 대의 드론을 우크라이나로 보냈다. 이 드론은 러시아의 전쟁 범죄를 기록하는 데에도 사용됐다.  

이 회사 최신 모델인 ‘X10’은 우크라이나 전자전 테스트를 통과한 최초의 미국 드론으로 전파방해가 어려워 우크라이나군이 수천 대를 요청했다.

우크라이나 '불라바' 부대원이 10월11일 자포리지아에서 드론에 유탄발사기를 달아 날리려고 준비하고 있다.  (사진=REUTERS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불라바' 부대원이 10월11일 자포리지아에서 드론에 유탄발사기를 달아 날리려고 준비하고 있다. (사진=REUTERS 연합뉴스)

중국의 제재 조치는 미국 의회가 글로벌 상업용 드론 시장을 석권한 중국 드론업체 ‘DJI’가 제작한 드론을 미국인이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중에 나왔다.

또 워싱턴이 대만에 공격용 드론 판매를 승인한 데 대한 보복으로 중국 정부가 10월11일 스카이디오 등 군수업체 세 곳에 제재 조치를 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스카이디오는 최근 대만 소방청과 계약을 체결했다. 

미중 두나라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군사 기술 분야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러시아 특수부대가 10월16일 드론에 포탄을 달아 자폭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사진=TASS 연합뉴스)
러시아 특수부대가 10월16일 드론에 포탄을 달아 자폭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사진=TASS 연합뉴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군은 AI 탑재 드론을 사용해 탱크, 자주포, 장갑차 등 지상 차량을 추적하고 공격하는 훈련을 이어오고 있다.

중국 국방기술대학은 지난해 이미 수십대의 드론이 서로 도와가며 전파 교란을 극복한 뒤 '자폭 드론'으로 목표물을 파괴하는 테스트에 성공했다.

경제 규모에서 세계 1·2위를 점한 미중 간의 제동장치 없는 무한 경쟁은 실전이 벌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선에서도 본국의 정치와 규제를 등에 업은 채 소리없이 전개되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