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 개발에 활용 않는단 지침 철회
"국가안보 위해 정부와 협력할 것"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이 인공지능(AI)을 무기나 감시체계 개발에 활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철회했다. 

미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 있는 구글 본사 모습(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미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 있는 구글 본사 모습(사진=로이터, 연합뉴스)

5일 BBC 등 외신에 따르면 알파벳은 최근 AI 윤리 지침을 다시 작성하면서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삭제했다. 이는 구글의 AI 역량을 무기나 감시 기술 개발을 위해 활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이었다.

알파벳은 지난 2018년 6월 AI 윤리지침을 발표하면서 AI 개발과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여기엔 인류에 해를 끼치는 기술(무기 관련 기술)과 인권을 침해하는 불법적 감시 기술 개발에 사용하지 않겠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당시 구글은 미 국방부가 AI를 군사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 '메이븐 프로젝트'에 참여했다가 내부 반발에 직면하자 이런 윤리 지침을 정해 발표했다. 

당시 수천 명의 구글 직원들이 AI의 군사적 활용에 대해 서명 운동과 청원에 나서며 강력 반대했다. 직원들은 '메이븐 프로젝트'가 치명적 목적으로 AI를 사용하는 첫 번째 단계라고 우려했다.

이런 반발 때문에 당시 구글은 미 국방부와의 AI 개발작업 계약을 갱신하지 않았다. 하지만 트럼프 신정부 출범 이후 입장을 바꿨다.  

데미스 하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사진=위키커먼스)
데미스 하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사진=위키커먼스)

제임스 마니카 구글 수석 부사장과 데미스 하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지난해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는 4일(미국시각) 구글 공식 블로그에 게시한 글에서 기업과 정부는 "국가 안보를 지원하는 AI 개발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며 이번 조치를 옹호했다.

이들은 지정학적 환경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면서 2019년 발표한 윤리 지침은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민주주의가 자유, 평등, 인권 존중과 같은 핵심 가치에 따라 AI 개발을 선도해야 한다고 믿는다"며 "이런 가치를 공유하는 기업과 정부 및 조직이 함께 협력해 사람들을 보호하고 세계적 성장을 촉진하며 국가 안보를 지원하는 AI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