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상 등 6개 부문 각 3억원 수여
신석우 UC버클리 교수 등 6명 수상
작년 한강 수상 기념 노벨문학상 위원 축사

호암재단이 30일 서울신라호텔에서 '제35회 삼성호암상 시상식'을 열어 신석우(46) UC버클리 교수 등 6명의 수상자에게 상금 각 3억원과 상장을 시상했다.
물리∙수학부문 과학상을 받은 신 교수 외에 과학상 화학∙생명과학부문 정종경(62) 서울대 교수, 공학상 김승우(69) KAIST 명예교수, 의학상 글로리아 최(47) 美 MIT 교수, 예술상 구본창(72) 사진작가, 사회봉사상 김동해(61) 사단법인 비전케어 이사장 등이 이날 호암상을 수상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날 4년 연속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를 격려했다.
수상자 가족과 지인, 삼성사장단 등 270여명이 참석한 이날 시상식에서 김황식 호암재단 이사장은 "훌륭한 분들을 수상자로 모시게 된 것을 큰 기쁨이자 자랑으로 생각한다" 며, "학술, 예술, 사회봉사 분야에서 각고의 노력을 다하여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의 발전에 공헌하고, 고귀한 인간 사랑을 실천했다"고 축하 인사를 전했다.
이 자리에는 지난해 호암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념하고 한국 문학계를 축하하려고 스티브 셈 산드베리 노벨문학상위원회 위원이 노벨재단 대표로 참석했다. 그는 축사를 통해 "지난 35년간 호암상은 헌신과 용기로 인류 지식의 경계를 넓혀온 한국계 학자와 학자들을 꾸준히 조명해 왔다"며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하고 공유할 수 있다는 노벨의 신념은 호암상이 추구하는 가치와 견해를 같이한다"고 말했다.
물리·수학부문 과학상을 받은 신 교수는 "수학자는 혼자만의 고민도 필요하지만, 실상은 수많은 교류와 공동연구로 많은 일이 이루어진다. 저도 미래의 수학자들이 무럭무럭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의 일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화학·생명과학부문 수상자 정 교수는 "저의 연구 성과는 혼자의 힘으로는 불가능했기에 실험실을 함께 이끌어온 연구진들께 감사드린다. 우리 연구가 최초의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로 이어져, 전 세계 수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공학상을 받은 김 교수는 "앞으로도 연구에 매진하며, 이번의 수상이 더욱 의미 있는 사회적 기여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리아 최 의학상 수상자는 "이민자의 삶을 열심히 사시며, 본이 되어 주신 부모님과 학문적 동지이자 친구인 남편께 감사드린다.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께서 쌓아 올린 기반 위에 저 역시 조금 더 벽돌을 쌓은 것 뿐이니 그 위로 다른 돌들이 쌓여 올라가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예술상을 받은 구본창 사진작가는 "예술창작은 타인을 향한 깊은 이해와 나눔에서 출발하는 것이며 저는 카메라를 통해 보고 느낀 것을 타인과 교감할 수 있다는 사실이 삶의 의미로 다가왔다. 이번 수상이 사진 예술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사회봉사상 수상자 김 이사장은 "절망 속에 살아가던 환자들이 눈을 뜨고 기뻐하는 모습을 보며 더 많은 이들에게 빛과 희망을 나누라는 사명을 가슴에 새긴다. 저와 ΄비전케어΄는 자원봉사의 정신을 품고, 함께 보는 밝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더욱 헌신하겠다"고 말했다.
호암재단은 7월 부산에서 노벨상수상자와 호암상수상자를 초청해 청소년들을 위한 특별 강연회를 열 예정이다.
삼성호암상은 호암 이병철 전 삼성 회장의 인재제일과 사회공익 정신을 기려 1990년 이건희 당시 삼성 회장이 제정했다. 이재용 회장이 국가 기초과학 분야 지원을 확대하자고 제안해 1명에게 시상하던 과학상을 2021년부터 물리·수학, 화학·생명과학 2개 부문으로 확대했다.
올해 제35회까지 총 182명의 수상자에게 361억 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