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태양광 제품 제조 업체들, 불공정 주장
나라별 관세 차이...美정부 통한 기업간 견제 치열

한화큐셀 등 미국에서 태양광 패널을 제조하는 업체들이 인도네시아, 인도, 라오스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패널에 관세를 부과해달라고 미국 정부에 요청했다.
이 업체들은 중국이 소유한 태양광 관련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인도, 라오스에 있는 공장에서 낮은 가격의 제품을 만들어 미국에 수출하고 있어 불공정하다고 주장했다.
영국 통신 <로이터>와 미국 통신 <블룸버그>가 17일(현지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한화큐셀·퍼스트솔라·탈론PV·미션솔라 등 미국 태양광 업체로 구성된 단체인 '미국 태양광 제조 및 무역 연합'(Alliance for American Solar Manufacturing and Trade)이 미국 상무부에 이같은 내용을 청원했다.
앞서 이들 미국 업체들은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패널에 대해서도 관세 부가를 청원했다. 미국 정부는 이 요청을 받아들여 올해 초 4개 나라 태양광 제품에 관세를 확정했다.
이번 청원서에는 중국계 기업들이 미국 관세를 부과받은 국가에서 생산 시설을 인도네시아와 라오스로 옮겼으며, 인도에 본사를 업체는 미국에 값싼 제품을 덤핑 판매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블룸버그>는 인도네시아와 라오스가 미국의 태양광 셀과 모듈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5월 1.9%에서 올해 5월 44%로 급증한 것으로 집계했다. 인도에서 수입하는 물량도 2022년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나라별로 다르게 적용되면서 미국 수출 기업들은 관세 유불리에 따라 생산 시설을 옮기고 있다. 또 이를 두고 미국 정부를 통한 기업간 치열한 견제가 이뤄지고 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