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식품 4.2%·수산물 6.4% 상승
8월 1.7% 올랐던 물가 다시 2%대로

추석 연휴를 앞둔 1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과일가게에서 시민들이 과일을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추석 연휴를 앞둔 1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과일가게에서 시민들이 과일을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추석을 앞두고 달걀 등 식품값이 오르며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9월 대비 2.1%를 기록했다. 전달에 비하면 0.5% 올랐다.

명절 수요 등의 영향으로 달걀값이 9.2% 올라 3년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가공식품과 축·수산물을 포함한 먹거리를 중심으로 높은 상승세가 이어졌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는 2일 이 같은 내용의 '9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1% 오른 117.06(2020년=100)을 기록했고,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 2.5% 오른 120.39를 기록했다. 생활물가지수는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을 지수화 한 것이다.

올해 들어 2% 안팎에서 오르내리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8월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른 통신료 인하로 1.7%로 내려갔다가 지난달 다시 2%대로 올라섰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빵(6.5%), 커피(15.6%) 등이 상승세를 이끈 가공식품 물가는 4.2% 올라,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p) 끌어올렸다. 이 영향으로 공업제품 물가도 지난 1월 이후 가장 많이 오른 2.2% 상승률을 보였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크게 올라 각각 5.4%, 6.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산 소고기(4.8%), 돼지고기(6.3%), 고등어(10.7%) 등은 8월보다 오름 폭이 낮았지만 높은 상승률을 이어갔다. 

농산물 물가는 1.2% 떨어졌다. 

지난해 9월 크게 올랐던 채소류 물가가 기저효과 영향으로 12.3%나 떨어진 것이 농산물 물가 하락을 이끌었다. 명절 수요 등으로 쌀(15.9%), 찹쌀(46.1%) 등 일부 품목은 크게 올랐다.

지난달 SK텔레콤 효과로 3.6% 떨어졌던 공공서비스 물가는 9월에 1.2% 올랐다.

외식 물가는 8월(3.1%)보다 상승폭을 키워 3.4%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2.5% 하락했다.

생선과 해산물이 포함된 신선어개는 6.7%, 신선과실은 3.1% 각각 올랐지만, 신선채소가 12.3% 떨어진 것이 지수를 하락시켰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9월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는지 묻는 기자의 질문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