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도심으로 무대 옮겨 ...일상 생태미학 추구"

2026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총감독으로 김성호 미술평론가(성신여자대학교 조소학과 초빙교수)가 선임됐다.
김성호 총감독은 지난 20여 년간 동시대 미술 현장에서 큐레이터·평론가·학자로 폭넓은 활동을 이어왔다. 모란미술관 큐레이터, 미술세계 편집장, 쿤스트독미술연구소장 등을 역임하며 현장을 기반으로 한 기획 역량을 쌓았으며, 자연환경 예술과 공공미술 프로젝트에서 잇따라 총감독 및 예술감독을 맡아왔다. 그는 2014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외에도 2008 창원아시아미술제, 2015 바다미술제, 2016 순천만국제자연환경미술제, 2018 다카르비엔날레 한국특별전, 2020 창원조각비엔날레, 2021 강원국제트리엔날레, 2022 그린르네상스프로젝트, 2022 한강조각프로젝트, 제7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2023) 등 국내외 주요 전시를 이끌며 ‘자연·환경·생태’를 주제로 한 예술적 화두를 지속적으로 탐구해 왔다.
김성호 총감독은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과, 중앙대학교 서양화과 및 예술대학원 문화예술학과를 거쳐 프랑스 파리10대학교 철학과에서 DEA를 취득하고, 파리1대학교에서 미학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중앙대학교 서양화과 겸임교수, 여주미술관 관장,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박사후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이미지 존재론』(2024)을 비롯해 총 6권의 저서와 13권의 공저, 18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는 등 연구 활동 또한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
김성호 총감독은 “2014년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에서 총감독을 맡았었는데, 10년이 넘은 지금 다시 감독직을 맡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다. 그동안 연미산과 금강쌍신공원 등 자연 공간에서 진행해 온 비엔날레를 2026년에는 공주 도심으로 무대를 옮길 예정” 이라며 “이번에는 도시 속 자연이 지닌 생태적 미학과 ‘인간-자연-예술’ 간의 공생 가능성을 함께 모색하는, 한층 풍성한 행사가 되도록 준비하겠다”고 선임소감을 밝혔다.
그는 또 “이번 비엔날레에서 도시 생태 경관, 공공공간, 하천·골목 등 일상적 장소들이 자연미술의 새로운 실험 무대가 될 것”이라며 “ 국내외 예술가들이 공주라는 도시의 맥락 속에서 자연과 공생하는 창작을 실험하는 장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