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내수 회복...26개국 중 3위
26일 밝힐 한은 수정 경제전망에 관심

반도체 수출과 내수 회복이 경기를 이끌면서 우리나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세계 주요 나라 중 최상위권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3분기 GDP 성장률은 1.166%로, 25일까지 속보치를 발표한 26개 나라 중 3위를 차지했다.
1위는 2분기 –1.1% 역성장을 기록한 이스라엘이 기저효과에 힘입어 3분기 2.967%로 선두를 차지했고, 인도네시아가 1.216%의 고성장을 이어가 2위를 기록했다.
3분기 1.1%에 그친 중국은 분기 기준으로 2022년 2분기 이후 처음 우리나라보다 낮은 성장률을 보였다.
영국(0.082%), 독일(0%), 프랑스(0.504%) 등 유럽 주요국도 저성장을 이어갔고, 일본은 -0.442%로 26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1분기 GDP 성장률은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0.219%까지 떨어져, 국제 순위가 전체 37개국 중 34위의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미국발 상호관세가 글로벌 무역 시장을 흔든 2분기에는 수출이 증가세를 보이며 0.675%의 성장률을 보였다. 국제 순위도 37개국 중 10위로 올랐고, 이런 흐름이 3분기까지 이어졌다.
일본 최대 증권사 노무라증권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내년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2.3%로 크게 올려잡았다.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따른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와, 증시 등 국내 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민간 소비가 활성화되는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는 정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통화기금(IMF)이 각각 제시한 1.8%보다 높고, 한국금융연구원(2.1%)이나 OECD(2.2%)보다도 높은 전망치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를 통해 "주가와 집값이 동시에 오르면서 부의 효과가 일어나 소비를 회복시킬 것"이라며 "내년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은 종료된 것으로 본다"며 "한은이 정부의 확장 재정을 지원하며 내년 말까지 연 2.50%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오는 27일 수정 경제전망을 밝히며 지난 8월 제시한 내년 성장률 전망치 1.6%를 올려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