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건 통해 30억 달러 마련
핵무기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 추정

[서울=뉴스프리존] 임형섭 객원기자=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 고도화 자금 마련을 위해 암호화폐 기업들에 수십 건의 사이버 공격을 한 혐의에 대해 유엔 제재감시단이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이 해킹으로 마련한 자금은 30억 달러(약 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지난달 28일 순항미사일을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모습(사진=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달 28일 순항미사일을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모습(사진=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로이터통신은 8일(현지시간) 유엔 제재감시단이 북한에 대해 핵무기 프로그램 고도화를 위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해 30억 달러를 벌어들인 것으로 의심되는데 따라 조사를 하고 있다고 미공개 유엔보고서를 인용해 단독 보도했다.

제재감시단은 보고서에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은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제재를 계속 무시하고 있다”고 북한의 공식 명칭을 사용하면서 관련 내용을 안보리에 보고했다.

이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암호화폐 관련 기업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으로 의심되는 58건을 조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마련한 30억 달러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도움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감시단은 "북한은 핵무기와 핵분열 물질을 생산했고 2017년에 마지막 핵실험을 했다”며 “탄도미사일 발사를 계속했고 위성을 궤도에 올려 놓았으며 핵무기에 ‘전술 핵공격 잠수함’"을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15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를 오랫동안 금지해 왔다. 특히 2006년 이후 북한이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도록 제재를 반복적으로 강화해 왔다.

지난달 28일 순항 미사일 발사를  '지도'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사진=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지난달 28일 순항 미사일 발사를  '지도'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사진=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그런데도 북한은 제재를 피해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해킹으로 핵무기 개발 자금을 마련해 온 사실이 이번 보고서에서 밝혀진 것이다. 

뉴욕에 있는 유엔주재 북한 대표부는 제재 감시단의 보고서에 대한 논평요청에 즉각 응답하지 않았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이전에 북한은 이전에 해킹이나 다른 사이버 공격에 대한 혐의를 부인했다.

제재 감시단은 북한의 주요 대외정보기관인 정찰총국 산하의 해킹그룹들이 다수의 사이버 공격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감시단은 이와 함께 북한이 러시아에 재래식 무기를 공급한다는 회원국들의 보고와 관련해서도 조사를 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또 "(북한의)무역은 계속 회복되고 있다"면서 "지난해 무역량은 2022년 기록을 넘어섰으며 다양한 외국 소비재가 다시 등장했고 이 중 일부는 사치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라고 전했다. 북한에 사치품을 판매하거나 이전하는 것도 유엔안보리에 의해 금지돼 있다.

제재감시단은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면서 국제 금융 시스템에도 계속 접근하고 있으며 불법적인 금융활동에 관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