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인력운영체계 무너져 치료의 골든타임 놓치고 의료사고 위험 높아”
정부, 의사단체, 수련병원에 진료 정상화 위한 해결책 제시 요구
[서울=뉴스프리존]방현옥 기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은 26일 "의료대란이 장기화되면서 수련병원의 노동자들이 과중한 업무와 불법의료행위로 내몰리고 있다"며 정부와 의사단체, 수련병원에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

의료보건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수련병원들이 비상경영을 선언하고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의사업무 대부분을 PA간호사, 심지어 교육·훈련도 되지 않은 일반간호사를 PA간호사로 전환해 반강제적으로 의사업무를 떠맡기고 있다”며 “언제 어떤 사고가 터질지 모르는 위태로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실제 비상경영을 선언한 수련병원에서는 무급휴가·무급휴직·연차휴가 사용을 종용 내지 강제하거나 일방적인 배치전환, 헬퍼(타 업무 지원) 보내기, 신규직원 입사 연기, 교육 연기, 근무복 지급 중단 등의 조치가 진행되고 있으며 휴업이나 병원 운영 중단, 임금체불에 대한 불안도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의료현장을 지키고 있는 노동자들은 불법의료행위인 줄 알면서도 고도의 전문성·숙련성·책임성이 요구되는 업무를 맡고 있다”며 “우리나라 의료체계의 중추 역할을 해온 수련병원들의 파행운영을 계속 방치하면 대한민국 의료체계가 붕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전공의의 진료거부와 의대교수들의 집단사직을 묵인·방조하는 수련병원들의 무책임이 문제"라고 지적하고 전공의와 의대교수들의 열악한 근무여건과 진료환경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정부는 의사들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강압 조치를 전면 중단하고 진료 정상화와 필수·지역·공공의료 살리기 해법 마련을 위한 실질적인 대화에 착수해야 한다”며 “수련병원들도 진료 정상화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끝으로 “입원·수술·치료의 연기나 취소로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환자들이 늘어나며 환자들의 생명 또한 위협받고 있다”며 “의대교수 집단사직계획 철회와 전공의들의 의료현장 복귀 등 조속한 진료 정상화와 의료대란 한가운데서 환자들의 생명을 지키는 의료기관과 노동자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보상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